[비즈카페] 구체성 부족한 농식품부 고용대책

입력 2016-05-27 04:00 수정 2016-05-27 17:23

취업난에 농림축산식품부도 고용대책을 내놨다. 영농작업반 활성화 등을 통해 내년까지 1만38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것인데 구체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농식품부는 26일 ‘농번기 인력 미스매치 해소 및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다. 농번기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 도시의 유휴인력을 공급하는 영농작업반을 정부가 지원해 육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영농작업반은 10∼40명 정도 그룹화된 농가·농업법인으로 농작업 위탁을 받아 연중 운영되는 두레 형식의 집합체다. 2014년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작됐지만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내년부터 1개 영농작업반당 연간 6000만원을 지원해 일자리 중개, 교통 편의 제공 등을 통한 활성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영농작업반의 일당은 9만원으로 한 달 내내 쉬지 않고 각 지역을 돌아다니며 주 5일 일하면 평균 220만원을 받을 수 있다. 내년까지 이를 통한 일자리 창출 목표 개수는 900개다.

이를 제외하고 농식품부는 창업·취업 자금지원, 교육실습 지원 및 6차 산업·신규 유망산업 육성을 통해 1만2900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체성은 떨어진다. 말 산업, 반려동물 산업 등 유망산업 육성을 통해 신규 일자리 7600개를 만들겠다고 했지만 어떤 산업에 어떤 일자리가 새로 생기는지 설명은 부족했다. 한 농업계 관계자는 “최근 양파 및 한우 값 폭등 등 농축산품 수급 정책에 허점을 드러난 상황”이라며 “본연 업무도 제대로 못 하는 농식품부가 대통령이 강조한 일자리 창출에 코드 맞추기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경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