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김무성·최경환 전격 회동… 당 대표에 권한 집중 합의

입력 2016-05-24 22:01 수정 2016-05-25 00:13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24일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관련 당정협의에 참석해 굳은 표정으로 이동하고 있다. 새누리당과 정부는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구조조정기업 및 협력업체의 체납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의 징수를 유예키로 결정했다. 륺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는 24일 김무성 전 대표, 최경환 의원과 3자 회동을 갖고 당 정상화 방안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만나 2시간가량 비대위 구성을 둘러싼 계파 갈등으로 전국위원회가 무산된 이후 당 혼란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들은 차기 지도부부터 현행 집단지도체제를 당대표에 권한을 크게 부여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회동에선 현재 최고위원회 같은 집단지도체제가 논란만 일으켜 국민들 보기에 좋지 않다는 공감대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정 원내대표가 회동에서 논란이 됐던 비대위원 선임 과정에 대해 소상히 설명했고 김 전 대표와 최 의원도 대부분 오해를 풀었다”고 전했다.

정 원내대표와 김 전 대표, 최 의원은 이날 회동에서 전당대회 전까지 당을 이끌 임시 지도부로 비대위와 혁신위원회를 통합한 이른바 ‘혁신비대위’를 구성키로 했으며 위원장은 외부에서 영입키로 의견을 모았다. 또 5∼6명의 혁신비대위원장 후보감을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가 비주류인 비박(비박근혜)계의 좌장 격인 김 전 대표, 주류인 친박(친박근혜)계의 구심점인 최 의원과의 합의를 끌어냄에 따라 임시 지도부 구성을 둘러싼 여권 내 계파 갈등은 당분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으로 보인다.

한장희 김경택 기자 jhhan@kmib.co.kr

[정치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