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까지 시중의 모든 생활화학제품에 함유된 살생물질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안전을 검증키로 했다.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화학물질 공포’에 사로잡힌 국민들의 불안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다.
환경부는 ‘위해 우려제품’으로 지정해 관리하는 15종 생활화학제품에 함유된 살생물질을 시작으로 내년 말까지 전체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안전 검증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에 따라 생활화학제품 중 국민 건강이나 환경에 위해할 우려가 있는 제품을 고시하고 안전·품질관리를 하고 있다. 논란이 됐던 스프레이형 방향제, 탈취제와 소독제, 방부제, 방충제 등이 해당한다. 모기기피제, 화장품 방부제 등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엄격히 관리하는 품목은 제외된다.
환경부는 상반기 중 15종 생활화학제품을 제조·수입하는 8000여개 기업으로부터 제품에 함유된 살생물질 종류 등을 제출받아 목록을 만들기로 했다. 먼저 위해 우려제품 제조·수입·유통업체 20∼30곳과 안전관리 협약을 맺고 살생물질뿐 아니라 성분 전체의 함량과 기능, 유·위해성 자료를 자발적으로 제출받을 예정이다. 여기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도 함유된 살생물질에 대한 자료는 반드시 제출해야 한다.
이 과정이 마무리되면 하반기부터 ‘페브리즈’나 곰팡이제거제 등 국민 불안이 큰 제품부터 위해성 평가를 가장 먼저 실시할 예정이다. 사용 빈도나 노출 경로 등을 고려해 독성이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내년부터는 에어컨·공기청정기 항균필터 등 위해 우려제품에 속하지 않는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이 들어간 공산품·전기용품 등으로 조사 범위를 넓힌다. 조사 과정에서 중대한 위해성이 의심되면 평가가 끝나기 전이라도 위해 우려제품에 포함시키거나 안전관리 기준을 마련해 우선 조치키로 했다. 제품에 직접 들어가지는 않지만 용기, 포장 등에 쓰이는 살생물질 실태도 파악한다. 환경부는 25일 80여개 생활화학제품 주요 생산·수입 업체와 10여개 유통사에 관련 내용을 설명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생활화학제품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다음 달 안에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이제서야… 모든 생활화학제품 살생물질 전수조사
입력 2016-05-24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