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문학진흥법’ 시행을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문학 5단체가 문인들의 목소리가 배제되고 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국제펜클럽한국본부, 한국문인협회, 한국소설가협회, 한국시인협회, 한국작가회의 등 5개 문학단체는 23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문학진흥법은 한국문학 진흥을 위한 백년대계를 세우는 든든한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며 “문학진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에는 작가들과 국민의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특히 우려하고 있는 것은 ‘문학진흥정책위원회’ 구성과 ‘국립한국문학관’ 건립이다. 문화부는 문학진흥법에 명시된 문학진흥정책위원회를 15인으로 구성된 위원들이 연 2회 정기회의를 갖는 비상설 기구로 운영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5단체는 이 위원회가 반드시 상설기구로 운영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원식 한국작가회의 이사장은 “1년에 두 번 회의를 하는 위원회라면 실질적으로 문화부가 다 하는 거나 마찬가지고, 위원회가 아니라 자문기구가 되고 만다”면서 “위원회를 상설화해서 문학진흥정책 수립이나 문학관 건립에서 실질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쟁점인 국립한국문학관 부지 선정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정치적 개입이나 지역안배의 논리가 끼어들어서는 안 된다”면서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공간으로서의 상징성, 미래를 내다보는 확장성, 전 국민이 향유할 수 있는 접근성,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지향하는 국제교류 가능성을 기준으로 공정하게 선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문 국제펜클럽한국본부 이사장은 “역사적인 법이 제정돼서 문인들의 기대가 크지만 시행령과 시행규칙 마련 과정에 문인들과 국민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문학진흥법이 무력화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서 더 늦기 전에 공동의 입장을 발표하기로 했다”면서 “5개 문학단체가 한자리에 모여서 공동으로 의견을 밝히는 것은 사상 최초의 일”이라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한국문학관 부지선정에 정치논리 안돼”
입력 2016-05-23 1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