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소재 융·복합 기술개발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탄소법)이 국회를 통과, 전북의 탄소산업 추진에 날개를 달게 됐다. 전북도는 이 산업을 ‘대한민국의 100년 먹을거리’로 육성키로 하고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전북도는 “탄소법의 국회 통과로 미래 산업의 ‘쌀’로 불리는 탄소산업이 국가 주도로 추진 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고 탄력을 받게 됐다”고 22일 밝혔다.
앞서 국회는 지난 19일 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 등 14명이 대표 발의한 ‘탄소법’을 의결했다.
이 법안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탄소소재 융·복합 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종합발전계획을 수립, 추진하도록 했다. 또 민간부문의 탄소소재 융·복합기술 개발을 본격 지원하는 시책들을 추진토록 했다.
이 법의 통과로 전북도가 추진하는 대형 예타사업인 ‘메가탄소밸리 조성사업’의 타당성 통과와 우주항공 분야의 주도권을 선점하려는 ‘초고강도 탄소섬유 개발사업’ 등도 큰 힘을 얻게 될 전망이다.
메가탄소밸리 조성사업은 2020년까지 5000억원을 들여 자동차 탄소복합소재·부품 상용화 토탈솔루션 센터 건립, 전기자동차용 탄소복합소재·부품 경량화 실증사업 및 탄소소재부품 지원 플랫폼 구축 등을 하는 것이다. 전북도는 이 사업을 통해 자동차·조선해양·기계부품·신재생에너지·항공 등 탄소산업의 5대 분야를 집중 육성하면 240개의 기업 유치와 3만여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탄소산업의 세계 시장규모는 2010년 2조8715억 달러였으나 2020년엔 7조21억 달러, 2030년 16조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정치권을 비롯한 200만 전북도민의 탄소산업에 대한 열망과 기대가 만들어 낸 성과”라며 “탄소산업을 전북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 100년 먹을거리로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탄소법’ 국회 통과… 전북 탄소산업 날개 달다
입력 2016-05-22 1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