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내년에도 회복 난망

입력 2016-05-22 18:02 수정 2016-05-22 18:11

수주절벽에 놓인 조선업은 내년에도 회복이 어려울 전망이다. 최대 변수는 유가와 해운업황이다. 수주가 정상화된 이후에는 중국 조선업체들의 거센 추격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시장은 2018년은 돼야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는 22일 “수주절벽을 불러온 저유가와 저성장 기조가 1∼2년 안에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원유 수급 동향과 유가 전망 등을 따졌을 때 조선업은 이르면 2018년을 기점으로 회복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선복량 공급과잉 현상도 이때부터 풀리면서 해운시황이 점차 나아질 것이란 설명이다. 해양플랜트 사업의 회복 시점은 2020년 정도로 관측된다. 태국 국영 에너지기업 TPP는 저유가 종료 시점을 2017년 말로 예상했고, 세계적인 에너지회사인 말레이시아 국영기업 페트로나스는 2019년에야 저유가 기조가 변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도 최근 펴낸 ‘2016년도 1분기 조선·해운 시황’ 보고서를 통해 “올해 중 발주 상황이 극적으로 변화될 가능성은 낮아 당분간 침체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 신조선(새 선박) 수주 감소세가 이어지고 2017년에 큰 폭으로 회복된 뒤 2018년에는 정상화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조선·해운 시황 분석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1척이었다. 120척이 발주됐던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25.8% 수준으로 줄어든 물량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중국업체들은 지난 4월 18척이나 수주하는 실적을 올렸다.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절반 이상을 싹쓸이 한 셈이다. 이 기간 국내 조선업체들의 수주실적은 2척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두 나라의 점유율도 크게 엇갈리고 있는 추세다. 작년 1∼4월 세계 선박 수주량의 33.5%를 차지했던 한국은 올 들어 같은 기간 점유율이 5.1%(9척)까지 급감했다. 중국은 이 기간 21%였던 점유율을 49.5%(59척)까지 끌어올렸다. 중국은 자국 선사들의 발주 지원을 토대로 수주 독주체제를 굳히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중국 조선업체 간 기술 격차는 최대 10년 정도로 업황만 회복된다면 다시 국내업체들이 점유율을 가져올 것”이라면서도 “불황기에 중국업체들이 인재를 영입하는 등 기술 격차를 상당히 줄일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