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의 20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여야정 민생경제현안점검회의가 20일 국회에서 처음 열렸다. 회의에는 새누리당 김광림, 더불어민주당 변재일, 국민의당 김성식 정책위의장과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참석했다. 경제 현안을 논의하는 정책 협치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이는 지난 13일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대표의 청와대 회동 합의에 따른 것이다. 회동 이후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 논란으로 정치권의 협력 분위기가 깨지는 듯했으나 3당 정책위의장이 민생경제 우선 원칙을 세우고 회의 일정을 잡아 협치의 불씨가 되살아난 것은 참으로 다행스럽다.
위기의 경제를 살리자는 데에는 여야 간 이론이 있을 수 없다. 다만 현안 진단 및 해법을 둘러싸고 입장 차가 있을 뿐이다. 그렇기에 각 당의 주안점도 다르다. 정부여당의 우선순위는 구조개혁과 쟁점법안 처리다. 더불어민주당이 내세운 5대 현안은 청년일자리, 서민주거, 가계부채, 사교육비, 누리과정 예산이다. 국민의당 우선과제는 누리과정,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성과연봉제 문제 등이다. 이처럼 방점은 다르지만 여야가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다보면 상황인식이 같아져 생산적인 결과물을 도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진통도 있겠지만 총선 민의를 좇는다면 풀지 못할 것도 없다. 정부도 전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날 여야정은 매달 한 차례 민생경제현안점검회의 개최 원칙에 합의하면서 협치의 첫걸음을 뗐다.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자주 만나 공감대를 형성해야 이견을 좁힐 수 있다. 각자의 주장만 내세우면 안 된다. 오로지 국민의 입장에서 공통분모를 찾아나가야 한다. 정례화된 이 회의가 정책 협치의 첫 시험대인 만큼 대화와 타협을 통해 좋은 결실을 맺기 바란다. 그래야 국민이 일말의 희망이라도 품을 수 있다.
[사설] 첫발 뗀 여야정 협의체, 국민에 희망 주는 결실 맺길
입력 2016-05-20 1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