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석탄공사 폐업설이 흘러나오면서 강원도 폐광지역이 술렁이고 있다. 국영광업소가 있는 태백과 삼척지역에선 대규모 투쟁을 검토하고, 대한석탄공사 노조는 총파업을 결정하는 등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다.
정부는 공기업 구조조정 일환으로 1조5989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는 대한석탄공사를 폐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 전남 화순광업소를 시작으로 2019년 태백 장성광업소, 2021년 삼척 도계광업소 순으로 폐광시킬 계획이다.
국영광업소가 위치한 태백과 삼척지역은 ‘폐광지역 말살계획’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 광업소에서 일하는 종사자는 협력업체 직원을 포함해 4000여명에 달해 폐업 시 지역경제에 큰 파장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폐업설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이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지역 사회의 반발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태백시의회는 지난 18일 폐업 및 탄광 폐광 철회를 위한 성명서를 청와대 등 7곳에 발송한데 이어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탄원서를 전달했다.
태백시의회는 탄원서에서 “태백은 1989년 정부의 석탄합리화 정책추진으로 인구가 11만5000명에서 4만5000명으로 반 토막이 났고 지역경제는 몰락했다”며 “제2의 석탄산업합리화 추진은 폐광지역과 주민을 두 번 죽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한석탄공사 노동조합은 18일 원주 신청사에서 정기대의원대회를 열고 총파업을 결의했다. 노조는 “정부가 아무런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탄광 폐광을 계획하고 의결하는 것은 헌법에 보장된 근로자의 단체교섭권과 노조를 무시한 처사”라며 “정부가 석탄산업 미래에 대한 자원개발 청사진도 제시하지 못한 채 근로자들을 깊은 수렁으로 내몰고 있다”고 했다. 이와 함께 태백시번영회, 태백시현안대책위원회, 한국노총 강원지역본부, 전국광산노동조합연맹 등도 잇따라 성명을 발표하는 등 반발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 단체는 정부가 폐업 수순을 밟는다면 1999년 태백시민 생존권 쟁취 투쟁보다 더 강력한 물리적 행동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염동열 의원(태백·영월·평창·정선)은 “지역경제의 중심에 있는 탄광을 아무런 절차와 대안 없이 중단시킬 경우 도시 전체가 회생불가능 한 상황에 처할 수 있는 만큼 시민들과 함께 모든 방법을 동원해 막아내겠다”고 말했다.
태백=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대한석탄공사 폐업설에 태백·삼척 ‘폭풍전야’
입력 2016-05-19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