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문래동 대선제분부지에 ‘지식혁신창고’를 조성하고 영등포역 뒤편에는 청년주택을 건립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방림방적 자리에는 복합문화시설인 ‘서남권 창조문화발전소’가 세워지고 영등포역고가는 단계적으로 철거해 지하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구청장 조길형)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영등포도심권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구상안을 서울시에 제출했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시가 현재 진행 중인 도시재생사업 공모 대상지는 오는 12월 발표되며 선정 시 마중물 사업비로 500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구는 시 지원비를 비롯해 자체 예산을 확보하고 민간투자도 적극 유치해 영등포역, 문래동, 경인로변이 포함된 영등포도심권 일대 74만3000㎡를 신산업과 창조문화의 중심지로 탈바꿈시켜 서남부지역 성장의 핵심동력이 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우선 문래동 대선제분부지 일대에는 거점부지 복합재생을 통해 신산업 생태계 거점인 ‘지식혁신창고’를 조성한다. 노후 공장과 집창촌 등이 모여있는 경인로변은 집창촌·쪽방시설 대책을 마련해 이와 연계한 중규모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영등포역은 후면부 재생을 통해 도심을 지원하는 복합기능 공간으로 전환한다. 저개발된 영등포역세권 주변의 풍부한 가용지를 활용해 도심형 청년주택, 업무시설 등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1만2947㎡ 규모의 방림방적 이전 자리에는 복합문화시설인 ‘서남권 창조문화발전소’가 건립된다. 김재중 기자
영등포 도심 ‘신산업·창조문화’ 중심지로 개발
입력 2016-05-19 2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