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에 표시없는 유해물질 ‘아찔’

입력 2016-05-18 18:44 수정 2016-05-18 21:52
대학과 출연연(硏), 기업 부설 연구소 내 연구실의 ‘안전 불감증’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험에 쓰이는 시약병에 경고 표시가 안 붙어 있거나 가스용기 밸브의 보호캡이 벗겨져 있는 등 안전관리 조치가 미흡했다. 일부 연구실은 내부에서 잠을 자거나 음식물을 섭취하다 시정 조치를 받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제1회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연구실 분야 첫 국가안전대진단’ 결과를 발표했다. 미래부는 지난 2∼4월 과학기술 분야 연구실 설치 대학·연구기관 등 1204곳에 대해 기관 자체 점검을 실시토록 했다. 또 생물·화학 등 고위험 분야 연구실 90곳은 민관 합동으로 현장점검을 벌였다.

그 결과 현장점검 대상 90개 기관 중 85곳에서 909건의 미흡 상황이 발견됐다. 전체의 80.6%(733건)가 ‘법 이행 미흡’으로 3개월 내 시정 조치를 받았다. 47건은 ‘법 위반’으로 드러나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취급하는 유해물질, 독성가스 등에 대한 안전 표식 미부착, 사고발생 시 긴급대처 및 행동요령 미흡, 주기적 안전교육 미실시 등이 주로 지적됐다.

또 자체 점검이 완료된 830개 기관 중 801곳에서 1071건의 안전관리 미흡이 확인됐다. 화학 안전 분야가 35%(375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전기(190건) 산업위생(145건) 가스(122건) 일반안전(110건) 소방(64건) 생물(41건) 기계(24건) 순이었다. 화학 분야에선 ‘시약병 경고 라벨 미부착’(43%), 전기 분야에선 ‘비접지형 콘센트 사용’(27%), 일반 안전에선 연구실 내 음식물 섭취(30%)와 취침 행위(2%)가 많이 적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사회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