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참패를 수습할 새 지도부를 출범시키지도 못한 새누리당에서 계파 갈등이 폭발했다. 친박(친박근혜) 주류가 비박(비박근혜)계 위주로 꾸려진 ‘정진석 비상대책위’와 ‘김용태 혁신위’를 사실상 ‘비토’하면서다. 여권 일각에선 당 쇄신은커녕 공멸 위기에 직면했다는 관측까지 제기됐다.
◇‘전국위 무산’에 계파 갈등 폭발=새누리당은 17일 국회 의원회관 회의실에서 상임전국위원회를 열고 당헌·당규 개정안을 마련한 뒤 전국위원회에서 이를 통과시키려 했다.
그러나 상임전국위가 예정됐던 오후 2시를 훌쩍 넘긴 시간까지도 정족수는 채워지지 않았다.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은 오후 2시40분쯤 “헌정 사상 이런 일은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성원이 되지 않아 회의를 진행할 수 없다는 보고를 드릴 수밖에 없는 참으로 한스러운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가 “어려우면 서로 도와야 되는데 돕지 못하는 이 현실의 아픔을…”이라고 하자 몇몇 참석자들은 “그러니까 왜 청와대를 공격합니까” “청와대 공격하면 혁신이 됩니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러니까 (총선에서) 패하지” “정신 좀 차려야지” 등의 질책도 쏟아졌다.
상임전국위는 전국위 의장과 부의장, 당 소속 국회 상임위원장, 시·도당 위원장, 시·도의회 대표의원 등 52명으로 구성되는데 20명도 참석하지 않았다. 상임위원장 9명 중 정두언 의원만 참석했고 친박계 정우택 정희수 홍문종 의원은 불참했다. 탈당한 이들(진영 주호영 의원)뿐 아니라 원내대표 경선에 함께 나섰던 나경원 김재경 의원, 공천 탈락한 정수성 의원도 참석하지 않았다. 시·도당 위원장은 17명 중 4명만 참석했다.
이날 정진석 원내대표를 비대위원장에 임명하고 혁신위의 독립성 보장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 등을 통과시키려던 전국위원회도 열리지 못했다. 비대위원 임명안을 처리하기 위한 상임전국위 역시 무산됐다. 김영우 의원은 “올스톱 상태”라고 했다.
◇‘비박 혁신위’ 흔든 친박…분당 위기 고조=총선 참패 이후 한 달 넘게 지속된 지도부 공백 사태는 계파 간 전면전으로 비화된 모양새다. 당내에선 “친박이 조직적으로 회의를 보이콧한 것”이라는 말이 나왔다. 실제 일부 친박 의원들은 전화를 돌리거나 직접 회의 참석을 만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친박계 한 의원은 “비대위 구성이나 혁신위 인선 문제에 동의하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비박계 탈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용태 의원은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고 했다. 정두언 의원은 “동네 양아치도 이런 식으로는 하지 않는다. 국민이 볼 때 새누리당은 보수당이 아니라 독재당”이라며 “이런 패거리 집단에 내가 있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해야겠다”고 했다.
비대위원에 인선됐던 이혜훈 당선인은 “(친박 의원들이) ‘우리가 누구를 밀었는데 왜 한 자리도 안 주느냐’면서 기자회견을 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김성태 의원은 비박계 3선 당선인들과 대책회의를 한 뒤 “긴급 당선인 총회를 열어 전국위가 무산된 상황에 대해 소상하게 밝히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친박 진영에선 “특정 계파에 총선 참패 책임을 덮어씌워선 안 된다”는 불만이 수그러들지 않았다. 총선 참패 공동책임을 진 김무성 전 대표나 유승민 의원과 가까운 이들은 비대위에서 빠져야 한다는 주장도 거셌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친박의 쿠데타… 정진석號, 공중분해 위기
입력 2016-05-18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