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주류 친박(친박근혜)계가 17일 ‘정진석 비대위’와 ‘김용태 혁신위’를 보이콧했다. 혁신위원장에 임명됐던 김용태 의원은 즉각 사퇴 의사를 밝혔다. 집권여당의 혁신이 시작도 전에 무산된 것으로, 지도부 구성을 둘러싼 계파 갈등에 분당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정진석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임하는 안과 비대위원 승인안을 의결하는 한편 혁신위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혁신위에 전권을 주는 당헌 개정안을 처리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에 반발한 친박계 의원 다수가 불참, 의결정족수 미달로 상임전국위와 전국위가 열리지 못했다. 국회 상임위원장, 시·도당 위원장 등 52명이 총원인 상임전국위의 경우 20명도 참석하지 않아 불발됐다. 당 지도부와 소속 의원 등 800여명으로 구성된 전국위도 과반에 한참 모자랐다.
김용태 의원은 전국위 무산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새누리당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며 “새누리당에서 정당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말했다. 그는 “혁신위원장을 사퇴한다”며 “국민에게 무릎을 꿇을지언정 그들에게 무릎 꿇지는 않겠다”고 했다.
이번 사태로 4·13총선 참패 후 정 원내대표를 앞세워 당을 수습하려 했던 새누리당은 걷잡을 수 없는 내홍에 휩싸일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비대위 출범은 고사하고 당이 둘로 쪼개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전날 “비대위원 및 혁신위원장 인선을 원점 재검토하라”고 공개 촉구했던 친박계 의원들은 정 원내대표에게 혁신위원장 및 비대위원 인선을 다시 하라고 압박했다. 친박계 재선 의원은 “비대위원장은 전 원내대표가 겸임하되 김용태 혁신위원장과 이혜훈 김영우 김세연 홍문표 비대위원 인선은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박(비박근혜)계 3선 의원 8명은 긴급 회동을 갖고 친박계의 조직적 보이콧으로 전국위가 무산된 진상을 밝히기 위한 긴급 당선자총회 개최를 요구했다.
한장희 권지혜 기자 jhha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새누리 ‘혁신’커녕 ‘자폭’
입력 2016-05-17 18:09 수정 2016-05-17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