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6일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합창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기로 한 것에 대해 공식적인 언급을 자제했다. 다만 소관부처인 보훈처가 여러 의견을 수렴한 뒤 고심 끝에 결정을 내린 만큼 이를 존중하겠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보훈처 결정에 대해 “이 문제는 국론통합을 고려해 불가피하게 내려진 결정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행사 참석자 자율 의사에 맡기는 합창과 달리 의무적으로 부르도록 하는 제창 방식은 또 다른 분열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기존 방식을 유지한다는 보훈처 결정을 존중한다는 취지다.
청와대는 특히 박근혜 대통령의 지난 13일 “국론분열을 일으키지 않는 좋은 방안” 언급은 문맥 그대로 좋은 방안을 찾아보라고 지시한 것일 뿐 특별한 의미를 담은 것이라는 해석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다만 보훈처 소관 문제가 박 대통령과 청와대로 직접 연결되는 데 대한 곤혹스러움도 읽힌다. 또 박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 간 회동 이후 소통·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문제가 정국 급랭의 불씨로 비화되는 데 대한 당혹스러움도 감지된다.
야당은 물론 새누리당까지 재고 요청을 하면서 박 대통령이 모종의 결단을 내리지 않겠느냐는 정치권 일각의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정부 관계자는 “보훈처가 최종적으로 내린 결정을 다시 뒤집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번 5·18기념식엔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에는 행사에 참석했지만 2014년과 지난해엔 각각 국무총리, 부총리가 참석했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朴대통령, 올해도 기념식 안갈 듯… 2013년 취임 첫해에만 참석
입력 2016-05-16 18:39 수정 2016-05-16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