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협치 시험대… 정국 중심된 ‘5·18 광주’ 야권 잠룡 총출동

입력 2016-05-16 04:00
정치권의 시선이 오는 18일 광주로 향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지도부 회동 이후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부가 여야 협치의 첫 번째 시험대가 됐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호남 민심을 두고 경쟁 중인 야권 대선 주자들이 광주로 총출동한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하게 될까=야당은 15일 일제히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공식 기념곡 지정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은 광주시민만의 행사가 아닌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함께 참여하는 국민 대화합의 장이 돼야만 한다”며 “2008년 이후 정부의 불허로 인해 제창되지 못한 ‘임을 위한 행진곡’이 이번 기념식부터 제창되어야 하며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함으로써 더 이상의 논란과 국론분열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더민주 당선인 5·18 기념식에 전원 참석할 예정이다.

국민의당 이용호 원내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곡 지정을 촉구한다”며 “기념곡 지정은 대통령의 국민통합과 국정운영 기조 변화의 신호로 받아들여져 향후 국정운영에 도움이 될 것을 확신한다. 합창이냐 제창이냐 같은 문제로 더 이상 국력을 낭비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에서 야당은 ‘임을 위한 행진곡’의 공식 기념곡 지정을 요청했고, 박 대통령도 국론분열이 없도록 해결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답변한 바 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도 지난 14일 국회에서 박승춘 보훈처장과 만나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곡 지정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원내대표는 “보훈처가 전향적인 검토를 해 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19대 국회가 종료되고 20대 국회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야권이 주장해온 ‘임을 위한 행진곡’이 8년 만에 제창될 경우 여야 소통과 협치라는 정치적 의미가 부여될 수 있다.

보훈처는 16일 ‘임을 위한 행진곡’ 공식 기념곡 지정과 제창 등에 대한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더민주는 당장 기념곡 지정이 어렵다면 올해부터 제창이라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야권 주자 광주 총출동=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등 야권 대권 주자들도 18일 광주로 총출동한다. 유력한 대선 주자인 이들의 메시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야권에서 호남의 지지 없이는 대선 주자가 되기 어려운 만큼 심장부인 광주 민심을 얻기 위한 행보다.

문 전 대표는 18일 광주를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전 대표는 더민주와 함께 움직이는 것보다 개인적으로 조용히 행사에 참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총선에서 호남을 석권한 안 대표도 17일 옛 전남도청 앞에서 열리는 5·18전야제 행사와 18일 열리는 공식 기념식에도 참석한다.

지난 12일부터 ‘2박3일’ 일정으로 광주를 방문한 박원순 시장도 재차 광주를 찾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서울에서도 5·18 기념행사가 열리는 만큼 어떤 행사에 참석할지를 두고 막판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 강진에 칩거하고 있는 손학규 전 상임고문도 18일 광주를 방문할 예정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