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대표 회동이 분기별로 한 차례씩 정례적으로 개최된다. 또 경제부총리와 3당 정책위의장이 참여하는 민생·경제 현안 점검회의가 이른 시일 내에 열리고, 북한 문제 등 안보상황과 관련된 정부 정보도 정치권과 더욱 많이 공유하게 된다.
박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대표·정책위의장은 13일 청와대에서 회동을 하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6개 항에 의견을 같이했다고 청와대 김성우 홍보수석이 밝혔다. 박 대통령과 3당 대표 회동 정례화는 여소야대(與小野大)로 재편된 정국을 맞아 민생을 위한 정부와 국회 간 소통과 협력의 물꼬를 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수석은 또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에 대해 “필요하다면 국회에서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해 철저히 따져주기를 바란다는 박 대통령의 제안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두 야당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행사 기념곡으로 허용해 달라는 것을 건의했고, 박 대통령은 국론 분열이 생기지 않는 좋은 방안을 찾아보라고 보훈처에 지시하겠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의 정무장관직 신설 건의에 대해선 “정부조직법 개정사항으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고 김 수석은 전했다.
다만 세월호특별법 개정과 노동개혁, 기업 구조조정, 누리과정 예산 등 상당수 현안에 대해선 박 대통령과 야당 간 입장이 여전히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성과도 있었고 한계도 있었다. 협치(協治) 차원의 진전”이라면서도 “예민한 현안에 (박 대통령의) 태도 변화가 없었던 점은 아쉽다”고 밝혔다.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는 “몇 가지 좋은 결과를 도출한 회동”이라며 “(다만) 여러 현안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또 다른 견해를 알 수 있었다”고 했다.
회동에는 새누리당 정 원내대표와 김광림 정책위의장, 더민주 우 원내대표와 변재일 정책위의장, 국민의당 박 원내대표와 김성식 정책위의장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이병기 비서실장, 현기환 정무수석 등이 배석했다. 박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은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만에 이뤄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협치’ 물꼬… 靑·3당 회동 정례화
입력 2016-05-13 18:04 수정 2016-05-13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