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통령과 여야의 회동 결과 실천으로 이어져야

입력 2016-05-13 17:39 수정 2016-05-13 21:10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지도부가 13일 청와대에서 회동을 갖고 6개 항에 대해 의견을 모았다고 발표했다. 우선 대통령과 3당 대표 회동을 분기에 한 번씩 정례화하기로 했다. 또 경제부총리와 3당 정책위의장의 ‘민생경제 현안 점검회의’도 개최키로 결정했다. 안보 상황과 관련해 정부가 야당과 정보를 더 많이 공유하기로 했으며, 가습기 살균제 사태에 대해선 필요하면 국회에서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해 달라고 박 대통령이 제안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곡으로 지정·허용해 달라는 두 야당의 건의를 받은 박 대통령은 “국론분열이 생기지 않는 좋은 방안을 찾아보라고 보훈처에 지시하겠다”고 답했다.

88분간 회동에서 대통령과 야당이 평행선을 달린 대목도 적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세월호특별법 연장과 공공부문 성과연봉제 도입, 누리과정 예산 지원, 어버이연합 문제, 남북관계 해법에 있어서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회동은 성과도 있었고, 한계도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4·13총선으로 국회가 여소야대로 바뀌게 된 상황에서 열린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첫 번째 만남을 통해 협치(協治)의 가능성을 봤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꽉 막혀 있던 대통령과 야당 간에 정례적인 소통 창구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지금부터는 이를 실천에 옮기는 게 관건이다.

그간 우리 정치 지도자들은 많은 합의를 하고도 당리당략과 내부사정으로 인해 손바닥 뒤집듯 파기해 왔다. 되풀이돼선 안 된다. 그러기에는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이 냉혹하다. 경제는 저성장 늪에 빠져 신음하고 있고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인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앞세워 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대통령과 여야는 정례회동과 민생경제 현안 점검회의에서 모든 난제를 풀겠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이번에야말로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를 선보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