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95% “공공임대주택 필요”

입력 2016-05-12 21:24
서울시민 10명 중 9명 이상이 공공임대주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반 가량은 공공임대주택 공급비율을 목표치인 10%보다 높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 산하 SH공사는 12일 이 같은 내용의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서울시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 공급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공감대 마련을 위해 SH공사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1일∼올해 1월 22일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만명과 서울시 시·구의원 229명, 서울시 및 자치구 소속 주택도시 및 복지담당 공무원 205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95.1%), 공무원(97.6%), 시·구의원(95.6%) 모두 95% 이상이 저소득층 및 서민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4∼4.9%에 불과했다.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공급비율 확대에 대한 질문에는 서울시민의 51.2%가 10%보다 높여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시·구의원과 공무원은 확대 의견보다 10%가 적정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공공임대주택이 들어오더라도 집값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응답이 56.8%로 가장 많았지만 떨어질 것이라는 응답도 39.8%에 달했다.

지역주민이 공공임대주택 건설에 반대할 경우 적절한 대응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서울시민의 56.7%가 ‘끝까지 주민을 설득한 후 추진해야 한다’고 답했다. ‘주민의 반대를 무릅쓰고라도 추진해야 한다’는 견해는 23.6%, 사업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은 19.7%였다.

김재중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