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산업단지를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석탄재 폐기물로 매립하려는 계획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새만금 산단을 폐기물투기장으로 전락시키지 말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12일 한국농어촌공사와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두 기관은 지난달 27일 한국중부발전㈜과 ‘새만금 산업단지 매립·조성 활성화 전담팀 회의’를 열고 산단 매립공사에 적극 협력키로 했다. 앞서 농어촌공사는 지난해 9월 중부발전과 새만금 산단 3공구(243만㎡) 대행개발(공사를 대신 해주고 토지 등으로 대금을 지급 받는 형식)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중부발전은 자회사인 충남 서천·보령화학의 석탄재 600만㎥와 보령항로 준설토 350만㎥를 섞어 매립토로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부발전은 전체 1400㎥의 매립토 가운데 대부분을 석탄재 혼합토로 채워 공사를 마무리한 뒤 토지를 대금으로 지급받을 예정이다.
당초 농어촌공사는 새만금 산단 매립토 전체량 1억1500만㎥ 가운데 83%에 해당하는 9600만㎥에는 군산항 준설토를 활용할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2009년 도내 소재 건설사 11개가 모인 가칭 ㈜KP가 출범했으나 사업은 시행되지 않았다.
이에 전북환경운동연합 등은 이 같은 계획에 크게 반발하고 석탄재 반입 협약을 당장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도내 27개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새만금석탄재저지대책위원회는 “석탄재의 환경 유해문제는 차치하고라도 군산항의 준설토 투기장이 사라지게 되고 군산항은 준설을 하지 못해 쓸모없는 항으로 전락할 처지에 놓인다”며 “청정바다와 청정갯벌이 사라진 것도 모자라 기업에게 2중, 3중의 특혜를 주려는 정부의 계획에 들러리를 서는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
이들은 아직 미착공 상태인 4, 6, 7∼9 공구도 향후 민간에 맡길 경우 비슷한 방식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전북도는 협의 기관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 같은 계획을 사전에 전해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만 전북도의원(군산)은 “도민의 삶과 직결된 사안임에도 논의 과정에서 전북도가 제외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며 “전북도가 적극 나서 환경 유해성 조사 등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새만금개발청은 “석탄재의 재활용은 실험 결과 여러 항목에서 규제치 이하로 검증됐다”며 “준설토의 경우 보령항 대신 군산항 준설토를 우선 사용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새만금 산단 매립에 발전소 석탄재 투입 논란
입력 2016-05-12 18:21 수정 2016-05-12 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