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도쿄올림픽 뇌물 유치 의혹… 佛 검찰 수사 착수

입력 2016-05-12 18:48 수정 2016-05-12 18:56

2020년 하계올림픽 유치과정에서 일본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 측에 거액을 송금한 사실이 포착돼 프랑스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11일(현지시간) 도쿄올림픽 유치 활동을 담당했던 팀에서 2020년 올림픽 개최지가 결정되던 2013년 9월쯤 라민 디악 국제육상경기연맹(IAAF) 전 회장의 아들 파파 마사타 디악 측에 130만 유로(약 17억3000만원)를 보낸 의혹을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파파 마사타 디악 측근의 싱가포르 비밀 은행계좌 ‘블랙 타이딩스’로 송금됐는데 이 측근이 스위스에 있는 일본 광고회사 덴쓰의 자회사 소속이어서 덴쓰가 돈이 오가는 과정에 개입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프랑스 검찰은 IAAF 비리를 수사하다가 IOC 위원으로도 활동했던 디악 전 회장과 IAAF 마케팅 컨설턴트인 파파 디악이 2016년과 2020년 올림픽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도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유치활동이 깨끗한 형태로 이뤄졌다“며 “프랑스 사법 당국의 요청이 있으면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해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적으로 매년 1조5000억∼2조 달러(약 1749조∼2332조원)가 뇌물로 오간다고 발표했다. IMF가 12일 영국 런던에서 시작되는 반부패 정상회의를 앞두고 공개한 ‘부패: 비용과 경감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세계 총 경제 규모의 2%에 해당하는 금액이 불법자금으로 유통되고 있다.

IMF는 최근 파나마 페이퍼스 사태를 통해 ‘부패척결’이 세계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문제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또 “프랑스와 이탈리아 등 유럽 8개국을 조사한 결과 부패가 정부 사업 지출액을 13% 증가시켰다”며 “부패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세입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0.8% 포인트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