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내 국제물류산업단지 연구개발특구에 최첨단 자동차 해체공장이 건립된다. 자동차 해체공장 건립은 정부의 규제개혁을 통해 성사된 것으로 기업애로 해소와 일자리 창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부산시는 국제물류산업단지에 자동차 해체공장 건립을 허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중앙자동차해체재활용업은 310억원을 투입해 1만7899㎡의 부지에 친환경 자동차 해체시스템과 부품 재제조 시설을 올 연말 착공할 예정이다. 이 공장이 내년 말 준공되면 120여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다.
자동차 해체공장은 선진국과 달리 공해시설인 ‘폐차장’으로 인식되면서 각종 규제에 묶여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많았다.
중앙자동차해체재활용업은 연구개발특구에 독일 등에서 시행 중인 자동차 해체시설과 폐부품 재제조업을 한 공장 안에서 유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자동차해체 및 재활용 기지를 구축해 아시아 시장의 모델로 성장시킬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지난해 7월 부지를 매입과 함께 ‘자동차 부품 제조업’ 입주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자동차 해체시설인 ‘폐차장’은 국제산업물류단지에 입주할 수 없는 업종으로 분류돼 사업계획이 무산될 처지에 놓였다.
시 규제개혁추진단은 지난달 7일 행정자치부 장관주재 규제개혁 토론회에 이 문제를 상정, 회사 대표가 “기업의 애로 해소와 일자리 창출 등에 도움이 되도록 규제를 적극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후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부산연구개발특구는 관련기관의 협의를 거쳐 최근 입주계약 변경 승인과 함께 자동차 해체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
☞
☞
☞
부산에 자동차 해체공장 세운다
입력 2016-05-12 1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