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희(56·사진) 서울문화재단(이하 재단) 대표가 서울시에 사직서를 제출한 것이 알려지면서 문화예술계에 파장이 일고 있다. 2012년 3월 임기 3년의 대표이사로 임명된 조 대표가 재단을 무난히 이끌어왔다는 평가 속에 지난해 연임됐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울시가 밝힌 조 대표의 사임 이유가 집필을 중단했던 소설의 마무리라는 것에 대해 문화예술계에선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조 대표가 12일 국민일보와 단독 전화 인터뷰를 통해 사직과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사직서를 이미 서울시에 제출한 상태에서 11일 공식화됐다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면서 “사직서를 낸 시점을 이야기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다만 재단 대표를 연임하면서부터 언제쯤 퇴장하는 게 맞을지 고민했었다”고 밝혔다.
문화예술계는 그의 예상치 못한 사임 소식에 안타까워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박원순 시장의 대권 도전과 관련해 문화예술계의 명망가를 새로운 재단 대표로 앉히기 위해 그에게 사퇴를 종용한 것 아니냐는 의심까지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세간의 의혹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사직의 첫 번째 이유는 개인적인 것으로 2005년부터 쓰기 시작했던 소설을 마무리하고 싶었다. 한국영상자료원과 서울문화재단 대표직으로 일하느라 정말 많이 미뤄둔 상태다. 두 번째 이유는 박 시장님이 이제 7월이면 임기 후반에 접어드는 만큼 새로운 동력으로 시정을 추진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이 두 가지가 현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답이다”고 말을 아꼈다. 이어 “재단 대표가 되면 선거 캠프에는 얼씬도 할 수 없다. 선거법 위반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단 대표를 박 시장님의 선거와 연관시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고 밝혔다.
서울시 문화예술 지원의 중심인 재단에서 4년간 대표를 역임한 소감에 대해 그는 “재단의 업무가 과거에는 예술가들에 대한 지원 위주였다면 이제는 문화예술과 연관된 도시재생을 추구하는 시정과 맞물려 영역이 훨씬 넓어졌기 때문에 바쁘지만 재밌게 일했다”면서 “장르별 전문적인 창작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등 안정적인 체계를 갖춘 것을 가장 큰 보람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아직 조 대표의 사직서를 수리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그의 사임 시기는 새로운 대표가 임명될 때까지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자 출신인 그는 한국영상자료원 원장을 지내는 등 국내 문화예술계의 대표적인 여성 CEO 가운데 한 명으로 꼽혔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조선희 서울문화재단 대표 “대표 연임 때부터 사퇴 시기 고민… 외압 없었다”
입력 2016-05-12 18:56 수정 2016-05-12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