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올해 세계 보건의 날 주제로 ‘당뇨병과의 전쟁(Beat Diabetes)’로 선정하면서 전 세계가 당뇨병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도 보건복지부가 당뇨로 인한 국민건강 개선을 위해 식습관 개선 등을 담은 당류 저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전 세계가 당뇨병에 주목하는 것은 급격히 환자가 늘고 있고, 향후 20∼30년 내에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세계당뇨연명(IDF)이 발표한 당뇨병 지침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전 세계 성인 11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로 4억1500만명의 성인이 당뇨병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뇨 유병률이 계속 증가해 오는 2040년에는 당뇨병 환자수가 약 6억4200만명이 될 것으로 세계당뇨연맹은 예측했다. 국내 상황도 마찬가지다.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 중 당뇨병 환자는 11.9%인 약 320만명이었고, 당뇨병 고위험군은 30세 이상 성인의 24.6%인 660만명으로 추정됐다. 더 큰 문제는 당뇨병에 의한 합병증 발생과 이에 따른 사망률이다. 전 세계에서 매 7초당 한 명이 당뇨병으로 사망해 연간 당뇨병 사망자 수는 약 490만명이다. 지난해 질병관리본부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당뇨병 사망률이 다섯 번째로 인구 10만명당 32.3명(OECD 평균 22.8명)의 환자가 당뇨병으로 사망한다.
하지만 당뇨병은 적절한 관리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동반질환을 관리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면 충분히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질환이다. 이와 관련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이문규)는 당뇨병 질환 인식 개선과 관리, 당뇨병 만성화와 합병증 예방 등을 위한 환자 생활습관 ‘당뇨병 관리 하나 둘 셋’을 발표했다. 이는 당뇨병 인구 1000만명 시대에 돌입하는 위기의식에서 국민 건강 개선과 당뇨병 사망률 감소를 위한 것으로, 한국인에 맞는 생활수칙이라는 점에서 눈에 띈다.
이문규 이사장(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은 “새로 발표된 ‘당뇨병 관리 하나 둘 셋’은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 조절율, 치료율 등 최신 의학적 통계자료와 진료 지침에 기반해 집대성했다. 핵심적 관리 지침에 한국인의 생활 패턴을 반영해 만든 최초의 한국인 맞춤형 생활수칙”이라고 강조했다.
‘당뇨병 관리 하나 둘 셋’은 3개의 관리 목표와 18개의 생활수칙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당뇨병 치료 1순위 목표인 ‘혈당 조절’로 당화혈색소(AIC) 수치 관리를 제시한다. 두 번째는 고혈압과 고지혈증 등 당뇨병의 ‘2가지 동반 질환 관리’이며 세 번째는 망막·콩팥·신경의 ‘3대 합병증 예방’이다. 3가지 관리 목표에 필요한 18가지 생활수칙은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생활계획표에 담았다. 매일매일 관리해야 하는 수칙으로는 ‘규칙적·건강한 식사’, ‘규칙적 운동’, ‘금연·절주’, ‘자가혈당측정’, ‘저혈당 주의’ 등이다. 또한 병의원 방문 시 확인할 수칙으로는 ‘당화혈색소’, ‘혈압·지질’ 측정과 ‘금연 상담’ 등이 포함됐고, 1년에 한 번 점검할 수칙으로 3대 주요 합병증과 심혈관 질환 위험 등이다.
김대중 대한당뇨병학회 홍보이사는 “당뇨병 극복 열쇠는 환자의 자기주도적인 생활습관 개선이다. 의학적 데이터에 근거한 당뇨병학회의 생활수칙을 기반으로 환자 대상 교육과 홍보 활동을 적극 펼칠 것”이라며 “환자와 병원, 정부 모두의 촘촘한 360도 당뇨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당뇨, ‘하나 둘 셋’ 생활수칙 꼭 지키세요
입력 2016-05-15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