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에 이어 조선업계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빅3 가운데 현대중이 인력 감축을 포함한 구조조정의 기본 방침을 9일 내놓았다. 구체적인 긴축안은 주중 채권은행에 제출한다. 대우조선과 삼성중도 조만간 자구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는 정부와 채권단의 압박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부실관리 하에 나홀로 적자를 보는 대우조선과 달리 현대중·삼성중은 영업이익을 내는 정상적 기업임에도 자구안을 강요하는 데 대해 비판적 시각이 적지 않다. 뇌관인 대우조선과 현대중·삼성중에 대한 정부의 접근법이 달라야 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현대중이 추가 긴축안을 수립하는 까닭은 ‘수주 절벽’으로 일감 부족이 현실화하고 있어서다. 수주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순차적으로 독(선박건조대)을 잠정 폐쇄하기로 하는 한편 사무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시행 등에 들어간 것은 이 때문이다. 하지만 노조 반발이 거세다. 회사 부실경영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는 구조조정에는 맞서 싸우겠다는 것이다. 이와 맞물려 현대중 노사가 10일부터 올해 임단협 교섭을 시작함에 따라 갈등이 불가피하다. 노조는 임금인상과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추가 인력 감축 등 고강도 자구안을 요구받은 대우조선의 노조도 처음과 달리 강경 대응으로 선회했다. 노사 충돌은 공멸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걱정스럽다.
반면 삼성중의 노동자협의회가 고용 보장 시 임금 동결이라는 타협안을 사측에 제시한 것은 적절했다고 본다. 위기가 닥쳤을 때 일자리를 지키는 대신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하는 게 현실적 대안이다. 고통 분담이야말로 인원 감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다. 그렇지 않으면 대규모 실업 사태를 피할 수 없다. 정부·국책은행의 무능, 경영진 책임을 지적하는 노조의 말에도 일리가 있지만 회사 생존이 시급한 만큼 노사 모두의 뼈를 깎는 자구노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사설] 위기의 조선업계를 살리는 길은 고통 분담이다
입력 2016-05-10 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