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여야 원내지도부 회동] ‘巨野’ 새로운 정치지형… ‘協治’로 가는 길 탐색

입력 2016-05-10 17:58 수정 2016-05-11 04:10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의 청와대 회동은 박근혜정부 임기 후반 협치(協治)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으로선 여소야대(與小野大)로 재편된 20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정부와 정치권 간 협력과 소통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총선 민심을 거론하며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에서 벗어날 것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0일 이번 회동 의제와 관련, “4개 정도로 생각하고 있다”며 민생·경제 현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체제 하의 북핵 문제, 정부와 여야의 국정운영 협력 방안, 3당 대표 회동 일정 등을 꼽았다.

박 대통령은 대(對)국회 소통 의지를 전하는 동시에 노동개혁법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경제활성화 법안 등의 조속한 처리를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정부의 4대 개혁 추진 방향을 설명하면서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히고, 이란 순방을 통한 경제 부문 성과 등도 설명할 예정이다.

당청 관계 변화가 모색될지도 관심사다. 4·13총선 참패로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 데다 새로 선출된 정진석 원내대표가 수직적 당청 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의사를 여러 차례 밝혔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 핵심 관계자는 “주로 민생이나 경제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며 “당청 관계 재정립 등 다른 얘기가 오갈지는 당일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밖에 박 대통령이 내수 위축 우려를 제기했던 ‘김영란법’(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에 대한 보완 문제도 논의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서민경제 활성화 문제뿐 아니라 가습기 살균제 사망 사건 대책, 세월호 특별조사위 활동시한 연장 문제 등을 의제로 올릴 계획이다. 박근혜정부의 구조조정 방식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번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하고 20대 국회에서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해야 할 많은 민생 과제들에 대해 대통령 말씀을 경청하면서 협조할 것은 협조를 부탁드리겠다”고 했다. 새누리당 정 원내대표가 회동 일정을 먼저 밝힌 데 대해선 “안 바뀌었구먼 아직도…”라며 “청와대 초청인데 왜 여당 대표가 발표하느냐”고 날을 세웠다.

국민의당 역시 박 대통령에게 적극적인 협치를 요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의당이 중점 법안으로 내세운 청년고용촉진특별법과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 활동기한 연장을 위한 세월호특별법 개정안 등 5개 법안 처리도 강조할 방침이다.

아울러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민주화운동 정식 기념곡으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번 회동에 대해 “선거 결과에 대해 국민의 의사를 받아들이고 그에 따라 한 단계씩 실천하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본다”며 “실제 만남에서 성과로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당초 이른 시일 내 여야 3당 대표들과의 회동을 추진하려 했으나 새누리당과 더민주 당 대표 선출 일정 등을 감안해 여야 원내지도부와의 만남을 먼저 갖는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박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의 청와대 회동은 박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다.

한편 여야 3당 원내지도부는 11일 국회에서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20대 국회 원(院) 구성 협상 등을 벌일 예정이다.

김경택 남혁상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