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질적 성과 거두는 ‘5·13 청와대 회동’이어야

입력 2016-05-10 19:49
오는 13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지도부 회동에 거는 국민들의 기대가 크다. 4·13 총선 이후 처음 이뤄지는 청와대 회동이라는 점에서 여소야대 정국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른 협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여서다. 박 대통령은 임기 후반기 국정을 원활하게 이끌어갈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협조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그런 만큼 대통령의 스타일 변화 여부가 이번 회동의 관건이다.

박 대통령은 10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만남을 통해서 국민의 뜻을 하나로 모으는 소중한 기회가 마련됐으면 한다. 앞으로 정부와 새로운 원내지도부 간에 대화와 타협을 통해서 민의를 최우선으로 하는 정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청와대 회동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대통령이 강조한 대화와 타협의 정치, 이것이 20대 총선 민의다. 이는 그동안 야당과 대화하고 타협하려는 대통령의 노력과 정성이 국민 눈높이에 부족했다는 말이다.

새롭게 조성된 여소야대 상황에 맞게 대통령의 인식과 스타일도 변해야 한다. 아직까지 총선 결과를 ‘정권 심판’이 아닌 ‘국회 심판’이라고 인식하는 한 협치는 고사하고 레임덕만 재촉할 뿐이다. 총선 후에도 오로지 나만의 잣대로 현안을 판단하니 한국판 양적완화 논란 등 곳곳에서 파열음이 들리는 것이다. 대화와 타협의 묘미는 51을 얻기 위해 49를 양보하는 데 있다. 더민주, 국민의당에 국정에 협조할 명분을 줘야 한다.

청와대 회동을 앞둔 두 야당의 태도는 긍정적이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20대 국회에서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해야 할 민생과제들에 대해 대통령의 말씀을 경청하고 협조할 것은 협조를 부탁하겠다”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 또한 “(대통령의 회동 제의를) 선거 결과에 대해 국민들 의사를 받아들이고 그에 따라 한 단계씩 실천해나가겠다는 의지 표명으로 본다”고 했다. 일단 협치 분위기는 조성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분위기가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 아무 소득 없이 모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회성 이벤트에 그칠 거면 만날 필요 없다.

국내외 상황이 녹록지 않다. 안보는 안보대로, 경제는 경제대로 적신호가 켜진 상태다. 흉악범죄가 잇따르는 등 사회 또한 흉흉하다. 이런 때일수록 정치가 중심을 잡아줘야 한다. 안보와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정치마저 정쟁에 휘둘려 혼란스러우면 국민의 불안감은 배가된다. 청와대 회동은 이 같은 국민의 불안감을 희망으로 바꿔주는 소통과 화합의 마당이 돼야 한다.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4+1 개혁’이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까닭은 대통령이나 정치권이 서로 하고 싶은 말만 하고 있어서다. 경청의 리더십이 절실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