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무기력 탈출 안간힘… 7월 전대서 대표 선출키로

입력 2016-05-09 21:41
노무현정부 시절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가 9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당선인 총회에서 특강을 하고 있다. 김 교수는 "여야 모두 이기고 지고의 권력 정치에 함몰돼 있다"고 비판했다. 이동희 기자

새누리당이 9일 국회에서 당선인 총회를 열어 늦어도 7월 중엔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열기로 했다. 비상대책위원회를 11일 구성하는 데는 의견을 모았지만 역할과 성격 등 구체적인 내용은 결정하지 못했다. 탈당파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은 서두르지 않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모두발언에서 “오늘 모아진 총의가 저의 유일한 가이드라인이고 오더가 될 것”이라고 했다.

◇19명 발언…‘혁신 비대위’ 다수=이날 총회는 총선 참패 후 한 달이 다 되도록 아무런 수습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는 무기력한 상황에 종지부를 찍자는 취지로 마련됐다. 시간이 흐르면서 비대위 구성 논의가 흐지부지되고 ‘2선 후퇴’를 요구받았던 친박(친박근혜)계가 다시 목소리를 내는 상황이었다. 정 원내대표는 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의 안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전당대회는 7월을 넘기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기준을 제시했다”며 “그 시점을 기준으로 비대위 구성과 인사 영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비공개 토론에선 19명의 당선인이 발언대에 섰다. 외부 인사를 영입해 혁신 비대위를 꾸려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고 한다. 다만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실무형으로 할지 당 쇄신을 주도적으로 이끌 실권형으로 꾸릴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다. 장기적으로 당 혁신 작업을 맡을 특별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하자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 원내대표는 “제가 일주일만 말미를 달라고 했다”며 “비대위 구성의 포인트는 인물인데 전권을 부여받거나 공천권을 행사하는 이런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영입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11일로 잡힌 정 원내대표와 중진의원 회동에서 비대위 윤곽이 잡힐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전당대회 시기를 7월로 못 박아 비대위는 길어야 두 달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계파주의 청산 등 강도 높은 쇄신을 주문했던 비박(비박근혜)계에선 “두 달짜리 비대위로 뭘 하겠느냐”며 “시늉만 내겠다는 것”이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20대 국회 원 구성 협상 전에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은 없다고 선을 그은 건 총선으로 나타난 민심을 일단 받들겠다는 의미다. 복당을 서두르는 것이 국회의장이나 상임위원장 몫을 더 챙기기 위한 꼼수로 비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총회에선 최고위원회의를 없애자는 주장도 나왔다. 김명연 원내대변인은 “총회에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며 “향후 비대위에서 다룰 내용”이라고 했다.

◇정진석호(號) 본격 출범…“친박 일색”=정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단 진용을 확정했다. 전날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를 임명한 데 이어 오신환 의원과 강석진 권석창 김성원 성일종 이만희 이양수 정태옥 최연혜 당선인을 원내부대표에 지명했다. 원내대변인은 김 의원과 김정재 민경욱 당선인이 맡게 됐다. 정 원내대표와 김광림 정책위의장을 포함해 모두 15명으로 꾸려졌다.

이 중 4명이 수도권, 4명이 충청 출신이다. 총선 참패의 근원지인 수도권과 내년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하게 될 충청 민심을 적극 반영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대부분 친박으로 분류돼 당에선 “친박 일색”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