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대문 안 90m 이상 건물 못 짓는다… 도시 환경정비기본계획 심의 통과

입력 2016-05-09 21:39

올 하반기부터 사대문안에 새로 지어지는 건물은 최고 높이가 90m 이하로 제한되고, 한양도성 내 재개발 예정구역 110만㎡가 해제된다. 영등포 대선제분공장 일대와 용산 남영동 업무지구 등 서울도심 낙후지역은 정비예정구역이 확대돼 ‘신 중심지’로 전략 육성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상업·준공업지역 도시정비의 법정계획)’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고 9일 밝혔다.

기본계획의 핵심은 정비예정구역을 재정비해 역사·문화적 자산이 풍부한 한양도성 도심은 보존하고 영등포, 용산, 청량리, 가산·대림 등 낙후된 도심은 새로운 중심지별로 전략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우선 한양도성 내 도심지는 역사문화중심지 보전을 위해 익선동·낙원동 일대, 인의동·효자동 일대, 종로5가 일대, 주교동·오장동·충무로5가 일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일대 등 재개발 예정구역 약 110만㎡를 해제한다. 이 지역들은 역사·문화적 특성을 고려해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한다.

또 도심지역 내 신축 건물은 내사산 경관을 가로막고 인근 건축물과의 부조화를 방지하기 위해 ‘역사도심기본계획’을 반영, 최고 높이가 내사산 높이(90m)를 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재개발 구역 내 위치하고 있어 철거 위기에 있는 YMCA, 성남교회, 남대문교회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근·현대 건축자산을 포함한 지역을 ‘보전 정비형 지구’로 지정해 건물을 보전하면서 정비사업이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우선 정비예정구역이 확대되는 4곳은 영등포구 대선제분공장 일대(7㏊), 용산구 남영동(한강로 서측)·삼각맨션 부지 일대(4㏊), 서대문구 충현동 일대(1㏊)다. 또 서울역 일대와 장안평 등 도시재생 활성화지역과 준공업지역도 정비예정구역을 확대해 활력을 불어넣는다.

시는 도심 인구감소 현상을 막기 위해 주거주용도(전체 건축물에서 가장 많은 연면적을 차지하는 용도) 가능 지역을 도심 전체로 확대하고 소형·준공공임대주택 도입 시 용적률을 최대 50%까지 확대한다. 또 사업 추진 과정에서 매장 문화재가 발견될 경우에 대비해 ‘문화재 보존 대응절차’를 마련, 문화재를 보전하면서도 사업지연을 미연에 방지해 원활하게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심 골목길 등 지역특성을 살리기 위해 한 정비구역 안에서 철거와 보전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혼합형 정비방식’이 처음 도입된다.

시는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재공람한 후 7월 중 고시할 예정이며 정비구역 지정 등은 고시 이후 본격화될 전망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