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형아 출산이 16년 사이 1.5배 증가했다. 자동차 등에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 임신 중에 노출된 비스페놀A·프탈레이트 등 환경호르몬, 엽산 부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다.
인하의대 사회·예방의학교실 임종한 교수팀은 2009∼2010년 국내 7대 도시에서 출생한 40만3250명을 분석한 결과 선천성 기형아가 인구 1만명당 548.3명(남 306.8명, 여 241.5명)으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신생아 100명을 기준으로 하면 약 5.5명이 기형을 갖고 태어난 셈이다. 1993∼1994년에 태어난 기형아는 100명당 3.7명(1만명당 368.3명)이었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형 질환은 소변이 나오는 요도 부위가 정상보다 위나 아래에 위치하는 ‘요도상·하열’로 1993∼1994년 1만명당 0.7명에서 2009∼2010년 9.9명으로 14.1배나 뛰었다. 좌우 심방 사이 벽에 구멍이 생기는 심방중격결손은 12.1배(9.7명→117.9명) 증가했다.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못한 정류고환(2.6명→29.1명), 신장에 물혹이 있는 낭성신장(0.7명→6.9명), 선천성 엉덩이관절 탈구(10.2명→61.3명) 등도 많이 늘어난 기형질환에 속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내 기형아 출산 갈수록 증가
입력 2016-05-09 18:52 수정 2016-05-09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