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대학 구조조정’의 막이 올랐다. 21개 대학이 정부의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 대상으로 뽑혔다. 이들 대학에선 인문사회, 자연, 예체능계와 공학계열 간에 정원 5000여명이 조정되는 대이동이 이뤄진다. 프라임 사업은 사회·산업 수요에 맞춰 자율적으로 학사구조를 개편하고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에 재정을 지원하는 대규모 구조개혁 사업이다. 내년부터 3년간 6000억원이 투입된다. 당장 내년 신입생부터 ‘영향권’에 들게 된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프라임 사업에 참여하겠다며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75개 대학(대형 27곳, 소형 48곳)을 대상으로 서면·대면 평가를 거쳐 21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대형 유형 대학엔 연평균 150억원씩, 소형 유형 대학엔 50억원씩 예산이 투입된다. 이들 대학은 바이오나 융복합, 지능형 로봇, 미래 에너지 등 공학계열 유망산업 중심으로 학과를 개편할 방침이다. 취업률을 2015년 대비 2018년까지 평균 3.1% 포인트, 2023년까지 평균 7.7% 포인트 끌어올릴 계획이다.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에는 건국대 경운대 동의대 숙명여대 순천향대 영남대 원광대 인제대 한양대(에리카) 등 9곳이 뽑혔다.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에는 5개 권역별로 2∼3곳씩 12곳(사립대 10, 국립대 2)이 선정됐다. 수도권에서 성신여대 이화여대, 대구경북·강원권에서 경북대 대구한의대 한동대, 동남권에서 동명대 신라대, 충청권에서 건양대 상명대(천안), 호남·제주권에서 군산대 동신대 호남대가 선택됐다.
21개 대학은 내년부터 전체 입학정원(4만8805명)의 약 11%인 5351명을 프라임 사업 분야로 옮긴다. 분야별로 인문사회 계열은 2500명, 자연과학 계열은 1150명, 예체능 계열은 779명이 감소한다. 대신 공학 계열 정원은 4429명 늘어난다. 인문사회에서 자연, 예체능에서 인문사회로 일부 이동하는 정원을 포함하면 전체 정원 이동은 5351명에 이른다. 탈락한 대학도 이미 구조개편에 합의했기 때문에 계획대로 실행한다면 대학들의 정원 조정 규모는 훨씬 커질 수 있다.
이번 선정 결과를 두고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사실상 대학의 미래를 좌우할 사업이기 때문이다. 유력 후보로 거론됐던 중앙대와 경희대, 최대 규모의 정원 조정을 내세웠던 가천대 등은 탈락에 따른 충격이 상당한 분위기다.
잡음과 뒷말도 무성하다. 인문사회·예술계열 소외라는 비판부터, 정부의 중장기 인력 수급 전망이 어긋나면 해당 분야의 인력 과잉 공급이 우려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의 부인이 의대 교수로 재직하는 건국대, 이영 교육부 차관이 교수로 있었던 한양대, 김상률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교수를 지낸 숙명여대가 뽑힌 것을 두고 의혹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엄격하고 공정하게 평가한 결과라 외압이 작용할 여지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전수민 이도경 기자
suminism@kmib.co.kr
‘인문·예체능→공대’ 정원 4429명 이동
입력 2016-05-04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