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全大 시기 논란 봉합한 더민주… 체질 개선에 나서라

입력 2016-05-03 19:28
더불어민주당이 정기국회 이전인 오는 8월 말∼9월 초에 새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열기로 했다. 그동안 전대 시기와 관련, 6월 말이나 7월 초에 하자는 ‘조기 전대론’과 20대 정기국회를 치른 뒤 연말연초에 하자는 ‘전대 연기론’이 맞서 왔다. 두 주장 모두 나름대로 이유가 있긴 하다. 조기 전대론은 선거가 끝난 만큼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 체제를 끝내고 새 지도부를 구성하자는 것이고, 전대 연기론은 총선을 승리로 이끈 김 대표가 수권정당 구상을 좀더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자는 것이었다.

전대 시기 문제는 김 대표 거취 문제와 맞물려 주류와 비주류 간, 문재인 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문 세력과 김 대표 측이 충돌하는 양상으로 전개돼 왔다. 결국 언제 터질지 모를 당내 권력싸움의 한 단면인 것이다. 더민주는 당헌·당규와 정당법 조항 등을 조합해 총선 후 5개월 이내에 정기 전당대회를 할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놓았지만 사실상 어정쩡하게 두 주장의 중간 시점을 정치적 미봉책으로 선택한 것이다. 그만큼 더민주의 속사정은 복잡하고, 내년 대선을 앞두고 당내 권력다툼이 일어날 소지가 큰 상황이다.

선거 이후 당내에서 일어난 전대 시기 공방은 더민주에 표를 몰아준 지지자들에게 실망을 주기에 충분했다. 이번 선거에서 더민주가 잘해서 1당이 된 게 아니라는 점은 내부 구성원들도 다 인정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거가 끝나자마자 권력투쟁이 벌어지는 것은 당내 패권주의적 잔재가 그대로 남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박광온 대변인이 전대 결정을 발표하면서 “전대 시기를 놓고 논란을 벌이는 것은 총선 민의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밝혔듯이 더민주는 총선 이후 달라지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호남 참패론 또는 누가 정말로 총선 승리에 기여했는가 등을 둘러싸고 벌였던 김 대표 측과 문 전 대표 측 간 저급한 말싸움, 비논리적 주장들은 더민주의 속살을 보여주는 듯했다.

더민주가 내년 대선에서 성과를 거두려면 확장성이 거의 없었던 총선 이전 상태와는 결별해야 한다. 총선 민의를 좀더 겸허하게 받아들이면서 운동권식 반대, 웰빙 야당, 수권능력 부재였던 당의 체질을 완전히 변화시켜야만 더민주에게 기회가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