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이란 방문] 경제에서 사법·문화협력까지…제2 중동 붐 기대

입력 2016-05-02 17:53 수정 2016-05-03 00:28
박근혜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왼쪽)이 2일(현지시간) 테헤란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있다. 양국 정부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371억 달러 규모의 경제협력 프로젝트에 합의했다. 뉴시스
박근혜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의 2일 정상회담은 ‘중동의 마지막 블루오션’으로 여겨지는 이란과의 경제협력에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됐다. 특히 1962년 수교 이후 경제협력은 물론 형사·사법·문화 분야의 협력 틀이 구체적으로 정비되지 않았던 양국 관계가 첫 ‘공동성명(joint statement)’ 채택을 통해 전방위적으로 한 단계 도약하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통적으로 북한과 우호적인 이란 정부로부터 ‘한반도 비핵화 및 핵개발 반대’라는 원칙적 입장을 이끌어낸 것도 성과로 꼽힌다.

◇사상 최대 경제협력 성과 도출=한·이란 양국이 체결한 양해각서(MOU)는 66건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청와대는 양국 인프라 협력 프로젝트 규모가 371억 달러(약 42조3000억원)라고 밝혔다. 가계약 및 MOU 체결을 통해 확정된 수주 규모다. 향후 추가 계약까지 이어질 경우 456억 달러(약 52조원) 규모가 된다. 철도·항만 등 교통·인프라는 물론 수자원 관리, 석유·가스·전력 등 초대형 사업에 우리 기업이 참여할 기회가 마련된 것이다.

그동안 서방국가들의 경제제재로 급격히 감소했던 양국 경제협력·교역 규모가 제재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된다는 의미도 있다. 2011년 174억 달러였던 양국 교역 규모는 경제제재 이후인 지난해 61억 달러로 급감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양국 교역을 5년 내 300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하자”고 했다. 박 대통령도 “우리나라가 한 국가에 제공하는 금융지원으로는 가장 큰 250억 달러 규모 금융패키지를 마련했다”고 화답했다.

◇공동성명 채택,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양국은 첫 공동성명을 채택, 양국 협력의 큰 그림을 마련했다. ‘포괄적 파트너십’을 구축한다는 의미다. 공동성명은 서문, 정무, 경제, 문화·교육·관광, 한반도·중동지역, 사법·치안, 결어 등 7개 분야로 구성됐다. 양측은 양국 외교장관회의 및 경제공동위 연례화, 상대국 내 문화원 개설, 2017년 한·이란 문화교류의 해 지정, 유학생 교류 확대 등 문화·교육 분야 교류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범죄인인도조약·형사사법공조조약 체결로 사법 협력 역시 제도화했다. 양측은 양국 선박의 자유로운 운송이 포함된 해운협정도 체결했다. 서울∼테헤란 직항노선 개설에도 합의했다.

테헤란에 복합 문화 비즈니스 공간인 ‘K-타워’를 건설하고, 이란이 ‘I-타워’를 서울에 건립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이란 대통령 “한반도 핵개발 반대” 천명=두 정상은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통일에 대한 원칙에 공감대도 형성했다. 로하니 대통령은 “우리는 원칙적으로 어떤 핵 개발도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핵 프로그램 개발 포기 이후 국제사회에 새롭게 편입한 경험을 토대로 북한에도 핵 개발 포기를 우회적으로 천명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란 측에 유엔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 이행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힌 뒤 “한반도와 동북아 지역의 항구적 평화와 안정을 위한 열쇠는 한반도 평화통일에 있음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테헤란=남혁상 기자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