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나갔나? 박지원, 국회의장직 발언 진화나서

입력 2016-05-01 17:32 수정 2016-05-01 17:49

국민의당 박지원(사진) 의원이 “국회의장 선출에 대해 저는 특정 정당이나 특정인을 선호하지도, 배제하지도 않는다”며 국회의장직의 향방을 놓고 최근 제기된 논란 진화에 나섰다.

자신이 제기한 연립정부론이 정치권에서 확대 논의되자 당내 인사들에게 관련 언급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정국 주도권을 잡으려는 시도들이 논란으로 비화되자 한발 물러서는 모습이다.

박 의원은 지난 30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국회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도 않으며 국회의 고유 권한”이라며 “만약 대통령께서 경제정책 실패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국민과 국회의 협력을 요구한다면 의장과 관련된 논의 등이 정해진 것이 없기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원칙을 말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박 의원은 최근 원내대표로 합의 추대된 뒤 “박근혜 대통령이 경제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협력을 구할 경우 의장직 등 뭐든지 협력할 수 있다”며 새누리당에 의장직을 넘겨줄 수도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삼남인 더불어민주당 김홍걸 국민통합위원장은 “의장 선출 건을 청와대와 상의하겠다고 하는 것은 삼권분립 위배”라고 강력 비판했다. 여권에서도 “대통령에게 사과를 요청하는 것은 승리에 도취된 오만한 결례”라고 지적하는 등 비판이 쏟아졌다.

의장직을 놓고 더민주와 새누리당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양상으로 비치자 박 의원이 공개 발언을 통해 해명에 나선 것이다.

박 의원은 ‘연정론’에 대한 추가 논의도 자제시켰다. 그는 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연정론이) 자꾸 이야기되고 혼선이 와 좀 자제하는 게 좋겠다고 은밀히 얘기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새누리당과의 연정 가능성을 언급했던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과 이상돈 전 공동선대위원장을 겨냥한 것이다. 박 의원은 “그들에게 직접적으로 얘기는 하지 않았다”면서도 “백가쟁명식으로 새누리당이랑 한다, 더민주랑 한다 혼선이 있으니 자제하는 게 좋겠다고 (당내에) 얘기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위원장도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박 대통령의 반성이 (연정의) 전제인데 대통령이 사과 요청을 받아들일 사람이 아니다. 더 이상 얘기해도 실익이 없다”며 자제 방침으로 돌아섰다. 하지만 “정부·여당의 자세 변화를 지켜보자”며 가능성은 열어뒀다.

국민의당은 제기된 각종 논란을 ‘공부하는 정당’ 행보로 돌파하려는 모습이다. 초선 의원들은 3일 오찬 회동을 갖고 공부 모임 발족식을 갖는다. 이날 오전에는 박 의원이 직접 국정감사 준비 등 상임위원회 활동과 관련된 특강을 하기로 했다. 4일에는 당선자 전원이 인천 남동공단의 중소기업 산업 현장으로 민생 탐방을 나간다. 20대 국회가 개원하는 6월부터는 아침 일찍 연사를 초청해 20차례 특강을 갖기로 했다. 한 당직자는 “정책위가 관련 사안을 도맡아 준비 중”이라며 “공부를 위해 필요한 부분들은 계속 보강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