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그 날의 목격자 외신기자 4명 광주 온다

입력 2016-05-01 18:01
1980년 5·18민주화운동을 증언하기 위해 벽안의 목격자들이 36년 만에 광주를 찾는다. 국립5·18민주묘지 옆 광주 망월동 구 묘역에는 ‘죽으면 광주에 묻어 달라’고 유언한 독일 언론인의 추모공간도 만들어진다.

지난달 출범식을 가진 제36주년 5·18기념행사위는 “당시 민주화운동의 열기로 가득 찼던 금남로를 두 발로 누볐던 외신기자들을 올해 기념행사에 처음 초대했다”고 1일 밝혔다.

5·18기념행사위는 이날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추모 리본 달기’를 시작으로 오는 28일까지 광주·전남지역에서 다양한 추모·기념 행사를 벌인다.

주제는 ‘광주, 기억을 잇다 평화를 품다’로 정했다. 이중 5·18 당시 생생한 취재경험을 듣기 위한 외신기자 초청행사는 36년 만에 처음 열린다. 이를 위해 브래들리 마틴(더 볼티모어 선), 도널드 커크(시카고트리뷴), 노만 쇼프(아시아월스트리트저널), 팀 셔록(저널오브커머스) 등 미국 언론인 4명이 광주 땅을 다시 밟는다. 이들은 16일 금남로 5·18 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시민과 대화시간을 갖는다. 이어 18일에는 옛 전남도청 임시 기자실에서 대학생들과 함께 ‘광주의 하루’를 지켜보게 된다.

2002년 국립묘지 승격 이전까지 5월 희생자들이 안장된 망월동 구 묘역에는 지난 1월 타계한 독일 언론인 위르겐 힌츠페터씨를 추모하는 정원이 조성된다. 5·18의 참상을 영상에 담아 전 세계에 알린 힌츠페터씨를 기리는 정원은 20여년 만에 다시 쌓은 5·18 추모돌탑 옆에 만들어진다. ‘푸른 눈의 목격자’로 불린 그를 기리는 표지석 아래에는 지난 2005년 5·18기념재단에 직접 맡겼던 손톱과 머리카락 등이 무등산 분청사기 함에 담겨 안장된다. 5·18기념재단은 16일 공식 추모식에 고 힌츠페터씨의 부인 프람스티트 에렐트라우트(79)씨와 당시 미국 특파원 4명도 참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힌츠페터씨는 5·18 당시 독일 제1공영방송 ARD-NDR의 일본 특파원으로 광주의 참상을 현장에서 취재해 세계에 전파했다. 그가 계엄군의 감시망을 뚫고 기록한 영상 자료는 군부독재의 폭압을 알리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5·18기념재단은 이밖에도 18일 5·18 제36주년 공식 기념식과 20일 차량시위 재현, 27일 부활제 등 각종 추모·기념행사가 잇따라 열린다고 덧붙였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