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이 제기한 연립정부 구성 논의가 정치권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생각, 가치관이 다른데 섞이게 되면 이것도 안 되고 저것도 안 된다”고 언급했고,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도 조심스러운 입장이어서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분위기가 강하지만 ‘연정론’은 좀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20대 총선 결과 ‘여소야대(與小野大) 3당 체제’가 정립된 후 ‘식물여당’이 될 것을 우려하는 새누리당 일각에서까지 연정론에 호응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연정론이 사그라지지 않는 이유는 내년 대선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과반의석 수성에 실패해 김무성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유력 대선 주자들이 상처를 입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원내 1당의 위치에 올랐지만 호남을 잃었다. 국민의당은 ‘안철수’라는 유력 대권 후보가 있고 호남에서도 승리했다. 하지만 전국적 조직 기반이 갖춰지지 않았다. 3당 중 어느 한 곳도 단독으로 정권을 따내기 힘들어 보이는 현 구도가 연정론을 뒷받침하는 배경이다.
정치권 재편의 ‘캐스팅보트’는 국민의당이 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각 당이 대권에서 승리하기 위한 필수요소를 하나씩 갖고 있다. 이념색이 옅은 대권후보, 그리고 호남이다. 국민의당이 연정론을 선제적으로 제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안철수 공동대표의 측근인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개혁적 보수, 합리적 진보 세력 등 모든 정치세력과의 연대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했다. 호남 중진인 박지원 의원도 ‘DJP연합’을 예로 들며 “전략적 연정을 통해 집권도 하고 호남이 실리도 챙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정 필요성에 대해서는 양측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호남 세력과 안 대표 측의 시각 차이는 확연하다.
박 의원을 중심으로 한 호남 세력은 야권 대권 주자와의 연대, 연정이 필요하다. 연정 상대는 안 대표일 가능성이 높지만 더민주의 대권 후보일 수도 있다. 한 호남 인사는 “호남을 정치 세력화해 대선에서 확실한 캐스팅보트를 행사하자는 것”이라며 “대선 직전에 호남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편에 설 것”이라고 했다. “안철수계가 자꾸 당에서 제2의 ‘친노’(친노무현)처럼 행동한다면 호남이 왜 대선에서 안 대표에게 힘을 보태주느냐”는 얘기도 당내에서 나온다.
안 대표 측은 단독 정권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연정이 불가피하다면 대권 후보가 난립하고 있는 더민주보다 여권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이 본부장을 포함해 안 대표와 가까운 김성식 최고위원, 이상돈 전 공동선대위원장은 새누리당 출신 인사다. 이 전 위원장은 한발 더 나아가 박 대통령의 사과를 전제로, 현 정부와도 ‘거국내각’을 꾸리는 등 연정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연정 이슈를 계속 제기해야 한다”고 했다. 현 정부에서 연정이 성사되면 대선 국면에서도 협력이 이어질 수 있다.
정치권에서는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연정, ‘야권통합론’ 등의 이슈가 봇물처럼 제기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야권 관계자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여권 후보로 대선에 나설 수 있고 더민주가 호남의 지지를 가져올 수도 있다. 3당 모두 대선을 완주할 수 있다”며 “다만 연정은 배제할 수 없는 하나의 가능성”이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이슈분석] ‘NO’라는데… ‘연정론’ 계속 나오는 이유 뭘까
입력 2016-04-30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