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가 40년 안팎의 노후 원자로에서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가 날 때를 대비해 요오드 알약(사진)을 전 국민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요오드는 방사성 누출로 인한 대표적인 질병인 갑상샘암을 막는 효과가 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났을 때도 현지 주민들에게 요오드 알약이 지급된 바 있다.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벨기에 마지 데 블로크 보건부 장관은 28일(현지시간) 현지 TV에 출연해 “후쿠시마 사고 이후 안전기준을 강화할 필요성이 생겼다”면서 “요오드 알약 지급 기준을 기존의 원자로 반경 20㎞ 이내에서 반경 100㎞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벨기에에는 7개의 원자로가 있으며, 7곳 기준으로 반경 100㎞의 원을 그으면 전 국토가 해당된다. 따라서 벨기에 국민 1130만명 모두에게 알약이 지급된다.
벨기에 국경지대에 있는 원자로의 경우 인접국인 네덜란드와 독일 일부 지역도 반경 100㎞ 범주에 포함된다. 따라서 네덜란드도 요오드 알약 지급 기준을 강화해 반경 100㎞ 이내에 사는 임신부와 18세 이하 청소년 모두에게 알약을 지급키로 했다. 독일은 요오드 알약 지급이 근본적 위험을 제거하지 못한다면서 원자로 폐쇄를 촉구하고 있다고 BBC는 전했다. 특히 요오드는 대표적인 방사성 물질인 ‘방사성 요오드’와 ‘세슘’ 가운데 방사성 요오드만 중화할 뿐 세슘에는 효과가 없다. 벨기에는 지난 1월 노후 원자로의 가동 시한을 2025년까지 연장하기로 해 인접국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벨기에, 전 국민에 요오드 알약 지급
입력 2016-04-29 18:08 수정 2016-04-29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