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4·13총선 당시 호남에서 참패한 원인이 당의 정체성 논란과 ‘호남 홀대론’에 적극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민주정책연구원과 강기정·홍종학 의원 주최로 28일 국회에서 열린 ‘호남 총선평가 성찰과 대안 토론회’에서 오승용 전남대 교수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우클릭 행보’와 문재인 전 대표의 호남 방문이 표심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오 교수는 “김 대표 영입 이후 나타났던 일련의 메시지와 정책을 통해 호남의 유권자들이 선거 과정에서 더민주를 새누리당 2중대로 인식했다”며 “(더민주가) 우리 당이라는 의식이 이완된 상태였다”고 했다. 이어 “문 전 대표가 20대 총선을 대통령 후보 신임투표로서 구도를 짰고 호남은 불신임했다”며 “‘나를 대선후보로 지지할 거냐, 안 할 거냐’라는 것은 나쁘게 얘기하면 협박이고 강요”라고 지적했다.
김성주 의원(전주 병)은 “김대중 전 대통령 이후 호남 출신 지도자를 갖지 못한 호남 민심은 호남 출신 인사들끼리의 대권경쟁에 대해 깊은 소외의식을 느끼고 있다”며 “여기에 ‘친노 패권주의’ 프레임과 ‘반문재인’ 정서가 더민주를 심판 대상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했다. 또 “김종인 대표의 지원 방문은 셀프공천 논란으로 희석되고, 비례대표 공천 과정의 혼란과 실망에다 지속적으로 5공 시절 국보위 참여 논란으로 퇴색돼 버렸다”며 “거기에다 문 전 대표의 호남 지원유세 여부가 계속 논란이 됨으로써 관심은 문 전 대표 사과 등 엉뚱한 데 쏠려버렸다”고 지적했다.
안일원 리서치뷰 대표는 “문 전 대표가 ‘친노’의 수장으로 각인되고 ‘친노 호남 홀대론’의 장본인으로 호남 유권자에게 각인됐지만, 당내 주류는 호남 홀대론이 사실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안일하게 대응해 왔다”고 진단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더민주 호남 참패 원인은 정체성 논란·홀대론”
입력 2016-04-28 17:38 수정 2016-04-28 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