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한마디에 “복당불가”… 與 ‘유승민 제2 고사작전’

입력 2016-04-27 18:17 수정 2016-04-27 21:51

제2의 ‘유승민(사진) 고사(枯死)작전’이 시작될까.

새누리당 지도부는 참패로 끝난 4·13총선 다음날 무소속 당선인들의 복당을 폭넓게 허용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기류는 어느새 확 바뀌었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선별적 복당론’이 나오더니 “무소속 의원들을 섣불리 복당시켜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한 친박 의원은 27일 “새누리당이 제2당으로 전락했다고 해서 곧바로 무소속 의원들을 전부 받아들여선 안 된다”며 “투표용지에 잉크도 안 마른 상황에서 민심을 거스르는 일을 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최고위원들이 사퇴 직전 ‘시기에 상관없이 무소속 당선인들에게 문호를 대개방하겠다’고 합의한 내용과 완전히 다른 것이다. 이런 변화에는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박근혜 대통령은 전날 편집·보도국장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자신의 ‘배신의 정치’ 발언과 관련, “평소의 비애 같은 것, 허탈함 같은 것”에 대해 표현한 말이라고 했다. 무소속 의원 복당에 대해선 “(새누리당이) 안정이 안 됐기 때문에 앞으로 지도 체제가 잘 안착이 되고 하면 그때 협의해서 판단할 문제”라고 했다. 특정인을 거론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무소속 유승민 의원을 겨냥한 것이다.

공천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며 압박했던 ‘유승민 거취 정국’의 시즌 2가 이미 시작됐다는 해석도 나왔다. 친박 진영에선 “오는 6월쯤 치러질 전당대회에서 차기 지도부가 선출된 다음에야 이 문제는 마무리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비상대책위가 꾸려지더라도 전당대회를 관리하는 역할에 제한되는 만큼 복당 여부를 판가름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왔다. 친박계 한 의원은 “차기 원내대표가 대표권한대행으로서 이 문제를 다루는 것도 적절치 않다”고 했다.

결국 어느 계파로 차기 지도부의 무게중심이 쏠리느냐가 관건이다. 유 의원은 지난 19일 대구시당에 복당을 위한 입당 원서를 제출했다. 새누리당 당규는 시·도당 당원자격심의위원회 심사를 거쳐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최종 승인을 받는 방식으로 복당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유 의원 측은 “대통령 발언에 대해 유 의원이 어떤 반응을 내놓기는 부적절하다”고만 했다. 유 의원과 무소속 윤상현 의원의 복당 문제가 맞물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박(비박근혜)계 한 의원은 “박 대통령이 먼저 마음을 크게 여시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