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여당의 4·13총선 결과 분석이 민심과 괴리를 드러냈다.
새누리당 전략기획본부가 총선 결과를 분석해 지난 26일 당선자 워크숍에서 발표한 보고서는 대표적인 민심 이반 징후로 비례대표 정당득표율이 19대 총선에 비해 10%가량 감소한 점을 꼽았다. 특히 세종시 공무원 거주 지역은 야당의 3분의 1 정도 득표에 그쳤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아울러 재외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정당득표율(37.5%)이 새누리당(26.9%)을 크게 앞선 점, 조응천 진영 이상돈 김종인 등 박근혜 대통령을 등졌던 사람들이 전원 당선된 점도 이와 같은 판단 근거로 들었다.
패인으로는 ‘공천 문제’ ‘경제상황 악화’ ‘잘못된 선거 홍보’ ‘공약 혼선’ ‘여론조사 오류’ 등을 지적했다. 종합하면 경제위기로 민생이 불안한 상황에서 야당의 ‘경제심판론’ 구호가 여당의 ‘국회심판론’보다 더 호응을 얻었고, 잘못된 여론조사 결과만 믿고 ‘오만한’ 공천을 해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패인에 대통령 국정운영 문제는 빠져 있다.
국민일보가 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1∼23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선 새누리당 총선 참패 원인으로 ‘불통의 대통령 국정운영 스타일’을 꼽은 응답자가 25.0%로 가장 많았다. 공천 문제와 ‘양당 체제에 대한 불만’은 각각 23.0%와 8.9%로 집계됐다.
박 대통령도 언론사 국장단 간담회에서 “국회가 양당 체제로 돼 있는데 서로 밀고 당기면서 식물국회로 쭉 가다보니까 국민들 입장에서는 변화와 개혁이 있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신 것 같다”며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국회심판론’에 초점을 맞춰 해석했다.
당청이 총선 패배 원인을 대통령에게서 찾지 않는 분위기로 흘러가다보니 여권 내부에선 “더 망해봐야 정신 차린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27일 “당선자 워크숍에서 계파별로 나뉘어 책임을 상대방에 미루고 대통령은 여전히 민심 이반을 국회 탓으로만 돌리고 있다”며 “이렇게 가면 정권 재창출은 요원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한장희 기자
총선 패인 ‘대통령 피해가기’… 민심에 눈감은 당청
입력 2016-04-27 1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