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여야정 협의체 구성 제안 등 정치권은 물론 각계각층과의 협력·소통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국정운영이 잘못됐다든지 이런 지적이 있는 것도 알고 있다. 그래서 저도 민의를 받드는데 있어서 더 민생을 살리는데 집중하고, 더욱 국회와 계속 협력을 해 나가겠다”고도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개헌과 국면전환용 개각, 야당과의 연정(聯政)은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3당 체제에선 협력·타협의 정치가 불가피하다. 연정 등 정치권과의 대타협 의향이 있나.
“대선과 총선에서 국민이 선택하고 만들어준 틀 내에서 우리가 협조하고 노력해야 한다. 서로 정책이나 가치관이 엄청 다른데 막 섞이면 이것도 저것도 안 된다. 그리고 누가 책임을 지나. 그건 바람직한 방향이 아니다.”
-여소야대 국면에서 국정을 어떻게 끌어갈 것인지.
“여소야대보다 사실 더 힘든 게 있다. 여당과 정부는 수레의 두 바퀴다. 계속 서로 협의하면서 같이 굴러가야 국정운영이 원활하게 되는데, 내부에서 그게 안 맞아 계속 삐거덕거리면 아무것도 안 된다. 그 점에서 좀 미흡한 것도 이번 총선 민의에서 나온 결과라고 생각한다.”
-새누리당의 총선 참패 이후 국정수습책의 하나로 내각 개편론이 나오는데.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내각을 바꾸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안보가 시시각각 어떻게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지금 (내각을) 변화시키고 그럴 여유가 없다. 지금 현실에서 더 열심히 해야 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이번 총선 결과를 지난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평가로 받아들이시는지.
“국회가 양당체제로 돼 있는데, 서로 밀고 당기면서 되는 것도 없고 식물국회 그런 식으로 가다보니까 국민들 입장에서 변화와 개혁이 있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신 것 같다. 3당 체제를 민의가 만들어준 것이라고 본다. 변화를 국민들이 바라신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개헌론에 대해선.
“지금 이 상태에서 개헌하게 되면 경제는 어떻게 살립니까. 지난 선거 때도 개헌을 주도하겠다는 그런 ‘개’ 자도 안 나왔다. 오히려 ‘경제를 살리겠다’는 얘기가 나왔고 그만큼 국민이 절박하다.”
-역사 교과서에 대한 구상은.
“통일도 앞으로 중요한 국가 목표다. 통일이 됐을 때 자유민주주의에 기반한 올바른 통일이 돼야지 지금 같은 교과서로 배우면 정통성이 오히려 북한에 있기 때문에 북한을 위한, 북한에 의한 통일이 될 수밖에 없다. 국가정체성도 흐릿하고 뭐가 뭔지 모르는데 다 뛰어나갔다가 어떻게 될지 모른다.”
-여야정 협의체 등에 대한 구상은.
“사안에 따라서 여야정 협의체를 만들어 정부와 소통하면서 풀어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남은 19대 국회, 20대 국회에서도 좀 더 전향적으로 생각해 협력할 것은 해주고 일이 되도록 만나는 것은 좋고 저도 만날 의향이 있는데, 만나도 평행선으로 갔다. 앞으로 여야정 협의체를 만들어 그런 문제도 전향적으로 해준다면 좋지 않겠나 생각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野와 연정 바람직 안해”… 개헌론도 일축
입력 2016-04-26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