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5차 핵실험 감행할 경우 더 강력한 제재로 도발 저지할 것”

입력 2016-04-26 21:51
박현동 국민일보 편집국장(왼쪽 다섯 번째) 등 언론사 편집·보도국장들이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오찬 간담회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북한이 5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현재 대북 제재의 틈새까지 다 메우는 더 강력한 제재로 북한의 도발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예상되는 북한의 5차 핵실험에 대한 정부 대처 방안은.

“북한의 핵실험 준비는 끝났고 언제라도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 상태로 보고 있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하고 계속 도발을 한다면 북한의 안보가 지켜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붕괴를 스스로 재촉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지금도 강력한 제재의 틈새까지 다 메워가면서 더 강력한 제재를 통해 북한의 이런 도발을 저지시키는 방법이 남아 있다. 다른 길은 생각할 수 없다.”

-관건은 중국인데.

“중국이 유엔 안보리에서 정말 미국, 다른 나라들도 다 의외로 받아들일 정도로 적극적으로 동참했다. 그래서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가 만장일치로 통과됐고, 시진핑 주석과 통화도 하고 핵안보정상회의에서도 따로 한·중 정상회담이 있었다. 앞으로도 계속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이 문제를 풀어나가도록 힘쓰겠다.”

-남북 경협 차원에서 운영되다 중단된 개성공단은 어떻게 되나.

“당사자인 우리가 선제적으로 개성공단 중단이라는 전략적 선택을 했기 때문에 국제사회가 힘을 모으는 큰 계기가 됐다고 생각한다. 북한의 진정성 있는 변화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데.

“위안부 문제 합의는 피해자 분들이 연로하시고 몇 분 안 남았기 때문에 더 미뤄선 안 된다. 지금 소녀상 철거와 연계가 되어 있느니 하는데 합의에서 언급도 전혀 안 된 이런 문제를 가지고 선동을 하면 안 된다. 빨리 후속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피해자 분들이나 관련 단체와 계속 소통해가면서 진행하겠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