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임기 내내 제기된 ‘처칠 흉상 의혹’을 7년여 만에 직접 해명했다.
문제가 된 윈스턴 처칠 전 영국 총리의 흉상은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하면서 토니 블레어 당시 총리로부터 빌려왔다. 그런데 이 흉상은 2009년 오바마 취임 직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사라졌다. 당시 오바마가 직접 영국대사관에 돌려줬다는 소문이 돌았다.
워싱턴포스트(WP) 등 미국 언론은 이 조치를 처칠이 상징하는 보수적 가치에서 벗어나겠다는 오바마의 제스처로 해석했다. 일간 텔레그래프 등 영국 언론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의 공로를 인정하지 않은 것이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백악관 인사들의 해명도 엇갈려 의혹은 더 깊어졌다. 보리스 존슨 런던시장은 지난 22일 오바마의 영국 방문에 맞춰 이 문제를 꺼내 들었다. 존슨은 일간 더선에 낸 기고문에서 “(처칠 흉상을 없앤 건) 오바마가 영국 식민지였던 케냐인의 자손이어서 생긴 반감 때문”이라고 적었다. 오바마는 기자회견장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직접 해명했다. 그는 “첫 흑인 대통령인 나를 상징하는 마틴 루서 킹 목사의 흉상이 공식 집무실에 더 어울린다고 생각했다”며 처칠 흉상을 교체했다고 밝혔다. 이어 “백악관 보관실에 있던 다른 처칠 흉상을 2층 개인 집무실에 놓았다”며 “처칠을 정말 좋아한다”고 말했다.
조효석 기자
오바마 대통령 ‘처칠 흉상 의혹’ 7년여 만에 직접 해명
입력 2016-04-26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