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사대문 안 고궁, 공원, 시장 등 명소를 연결하는 도심보행길 5개 노선이 연내에 특화 조성된다. 각 노선의 역사문화지점에는 안내표지판이 설치돼 장소성과 역사성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접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도심보행길 조성계획을 발표하고 5개 노선을 ‘걷는 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보행 랜드마크로 자리매김시키겠다고 밝혔다.
5개 노선은 ‘이음길’ ‘옛풍경길’ ‘늘청춘길’ ‘종로운종길’ ‘청계물길’ 등이며 총 길이는 25.4㎞다.
이음길(9.5㎞)은 서울역에서 정동∼광화문∼인사동∼흥인지문∼명동을 거쳐 다시 서울역으로 이어지는 순환형 노선이다. 옛풍경길(4.5㎞)은 와룡공원을 시작으로 운현궁을 거쳐 퇴계로 2가 교차로까지 이어진다. 늘청춘길(3.8㎞)은 일제 강점기 사라졌다가 1992년 한양도성의 일부로 복원된 혜화문에서 시작해 문화예술거리인 대학로, 패션특구인 동대문시장으로 이어진다. 종로운종길(4.0㎞)은 서대문역에서 출발해 종로를 관통하며 청계물길(3.6㎞)은 옛 국세청 부지를 지나 국내 최초의 주상복합건물이자 재생 프로젝트가 한창인 세운상가로 이어지는 길로 청계천을 따라 조성된다.
순환형인 이음길을 제외한 나머지 4개 노선은 서울 도심을 격자형으로 연결하는 종횡노선이다.
도심보행길은 서울하늘색을 통일된 색상으로 적용해 누구나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노선 시작·종료 지점, 100m 간격, 스토리텔링 지점 바닥에는 ‘걷는 도시, 서울’ BI를 활용한 노면표시가 표출된다. 시는 또 보행에 편하도록 횡단보도를 신설하거나 위치를 개선하고 공중전화 부스, 가로수 등 보행에 불편을 주는 지장물은 제거하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기로 했다. 부적합한 점자블록이나 볼라드, 빗물받이 등은 정비할 계획이다.
이음길 상부 구간 6㎞(서울역∼광화문∼흥인지문)는 올 상반기 중 조성하고 나머지 4개 노선은 연내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음길 하부 구간은 서울역고가를 공원화하는 사업인 ‘서울역 7017 프로젝트’와 맞춰 내년 4월까지 마무리한다.
시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해 관광홈페이지(www.visitseoul.net)와 앱(I tour seoul)에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 문자·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성만 시 보행친화기획관은 “매력적이고 이야기가 있는 상징적, 대표적 보행길을 조성해 보행문화와 관광업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통해 경제 활력을 주변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 ‘도심보행길’ 5개 코스 25.4km 만든다
입력 2016-04-26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