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참패 후폭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새누리당을 추스르는 임무를 외부 인사에 맡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당 안팎에서 커지고 있다. 쇄신작업을 힘 있게 추진하려면 원외 인사가 비상대책위원장으로서 칼자루를 쥐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이를 놓고도 당내 계파 간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어 리더십 공백 상태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당 안팎에선 김황식 전 국무총리, 강창희 김형오 전 국회의장, 조순형 한화갑 전 의원,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 윤리위원장을 지낸 인명진 목사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외부 인사 영입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공감대는 확산돼 있다. 심재철 의원은 26일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비대위원장은 현역(의원)이 아닌 외부에서 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현역이 맡게 되면 또다시 계파가 어쩌느니, 그런 이야기가 분명히 나올 것”이라며 “비대위원도 현역이 아닌 외부 사람들이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정우택 의원도 “비대위원장이 쇄신안을 추진할 때 제일 중요한 게 계파 청산”이라며 외부 인사를 비대위원장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다시는 친박, 비박이라는 소리가 나오지 않게 해야 되는데 이것을 하려면 당파를 초월한 위기관리 능력이 탁월한 인물이 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했다.
문제는 누가 비대위원장으로 나서겠느냐는 데 있다. 오는 6월로 예정된 전당대회까지를 비대위원장 임기로 할 경우 쇄신안을 마련, 실행할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전당대회 전까지만 당을 ‘관리’해 달라는 것만으로는 외부 명망가를 영입할 명분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당대회를 늦춰서라도 비대위 체제를 연장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만 계파 간 힘겨루기가 뇌관이다. 비박(비박근혜) 진영에선 “전당대회를 미루자는 건 결국 시간을 끌겠다는 의도인데 책임론이 잠잠해지기를 기다렸다가 특정 세력이 전면에 나서려는 것 아니겠느냐”는 말이 나온다. 반면 친박(친박근혜)계 한 의원은 “그러면 현실적으로 누가 그 짧은 시간밖에 주어지지 않은 비대위원장직을 맡으려고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與 ‘비대위원장, 외부 인사 영입’ 공감대는 확산돼 있는데 계파 신경전… 리더십 공백 당분간 지속
입력 2016-04-26 2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