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도 13만부가 팔린 세계적인 화제작 ‘사피엔스’(김영사)의 저자 유발 하라리(40·사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 역사학과 교수가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대만과 중국 방문을 마치고 25일 오후 입국한 하라리 교수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인공지능(AI)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가장 위협적인 기술”이라며 “인류가 맞닥뜨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 전 지구적 정치체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국내 출간된 ‘사피엔스’는 수렵채집인이던 사피엔스(인간)가 어떻게 오늘날 세계의 지배자가 됐는지를 대담하고 설득력 있게 서술한 책으로 전 세계 30여개국에서 출판됐다. 특히 인공지능 알파고 충격 이후 ‘인간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질문이 부상하면서 인공지능 시대 인류의 미래를 전망한 이 책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하라리 교수는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권위의 원천이 인간에서 기계로 옮겨가면서 인류가 운명의 조종간을 빼앗길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또 “앞으로 30년, 40년 후엔 인공지능이 다는 아니어도 거의 모든 직업에서 인간을 몰아낼 것이고, 기술을 지배하는 극소수 엘리트가 세상의 부와 권력을 독점하는 게 점점 더 쉬워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인간이 감정과 관련된 기술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해 우위를 지킬 수 있을 것이란 전망에 대해서도 그는 고개를 저었다. “인간의 감정은 영적이거나 신비한 현상이 아니라 생화학적 알고리즘”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감정지능이 인공지능의 감정지능보다 더 뛰어날 것이라고 확신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마음은 아직 과학이 이해하는 데 실패한 주제”라며 “아직까지 인공지능에는 의식이 없다”고 덧붙였다.
책에서 “2100년이면 현생인류가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던 하라리 교수는 이날 “지구온난화든 인공지능이든 지금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다 지구적이다. 지금처럼 개별 국가 위에 존재하는 전 지구적 힘이나 정책이 없는 상태에서 이런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방법은 없다”며 국제적 대응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인류의 미래에 대한 보다 본격적인 논의는 하라리 교수의 새 책 ‘미래의 역사’에 담길 예정이다. 오는 9월 영어판이 나오고 내년 한국에서도 출간된다.
하라리 교수는 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앞으로 2050년에 세상이 어떨지 전혀 알 수가 없다”면서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 중 80∼90%는 아이들이 40대가 됐을 때 별로 쓸모없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대답했다. 그는 “지금 아이들은 선생님이나 연장자들에게 배워서 인생을 준비하는 게 불가능한 역사상 첫 세대가 될지 모른다”면서 “부모가 자기가 살아온 경험에 따라 아이들에게 조언하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우리가 지금 아이들에게 가르쳐줄 수 있는 게 있다면 어떻게 늘 변화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 정도가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하라리 교수는 26일 환경재단과 28일 경희대 강연회, 29일 박원순 서울시장과의 대담, 사인회 등의 일정을 소화하고 5월 1일 출국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사피엔스’ 저자 유발 하라리 “인류 최대 위협은 인공지능”
입력 2016-04-26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