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신성장 산업으로 주목받으면서 농업 분야에 특화된 농업 금융도 다양해지고 있다.
2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CJ, 농심 등 식품 대기업들은 자사에 필요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동시에 미래 식량 자원을 선점하기 위한 식물공장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동부팜한농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유리온실 건설에 380억원을 투자했다. 이에 따라 농업 내부에서도 적극적인 투자 추세와 기업화 등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농식품경영체 대형화·기업화가 진행되는 한편 규모는 작으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세운 농식품 벤처기업도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자연스레 금융수요가 늘어나면서 그동안 단순한 대출 형태에 머물러 있던 농업금융제도도 PEF(사모펀드), 구조화채권 등 첨단금융기법이 도입되는 등 점차 고도화·선진화되고 있다.
농식품부가 2010년 출범시킨 농식품모태펀드가 대표적이다. 출범 초기 출자금 150억원에 불과했던 농식품 모태펀드는 지난해 6500억원에 달하는 자펀드를 조성해 266개 농식품 경영체에 투자할 정도로 급성장했다. 올해에는 스마트팜 분야에 투자하는 펀드를 500억원 이상 규모로 결성하고 하반기에는 농업의 선진화 촉진을 위한 펀드도 추가 출시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이와 함께 농업 부문에서도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추진 중이다. 올해 상반기 중으로 농식품 벤처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내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구축해 50개 기업에 펀딩하는 것이 목표다. 단순한 플랫폼에서 벗어나 펀딩 참가 기업에 기업홍보, 제품판매, 마케팅, 재무에 관한 각종 지원사업을 병행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농업시설 투자에는 ‘시설 매각 후 재임차’ 방식을 시범 도입할 방침이다. 정책자금 융자나 민간자본 투자로 조달한 자금으로 농업인의 시설을 매입해 재임대함으로써 농업인은 초기자본 부담 없이 임차료만 부담하고 경영하면 되는 방식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의 규모화·기업화에 따라 초기 진입비용이 커지고 있다”면서 “기술력을 갖춘 농업인이 첨단 농업에 진입하려 할 때 자본 부담을 완화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농식품 산업 첨단·고도화 따라… 농업분야 금융지원 똑똑해진다
입력 2016-04-25 2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