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과 이혼한 뒤 장애1급 아들과 생활해 온 F씨(54·여)의 집에 최근 동사무소 복지담당 직원이 찾아왔다. 전 남편의 반대로 복지급여 신청을 하지 못했고 몸이 아파 다니던 직장을 그만둬 소득이 없었던 터였다. 동사무소 직원은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이 밀려 있던데 무슨 문제가 있느냐”고 물은 뒤 F씨가 긴급복지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줬다.
정부가 사회보험료 납부 등에 관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송파 세 모녀’와 비슷한 가구를 찾았더니 3개월 만에 무려 2만명에 육박하는 사람들이 발견됐다. 복지부는 25일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1차로 운용한 결과 1월부터 3월까지 1만8318명을 찾아내 지원했다”고 밝혔다. 빅데이터의 위력도 대단하지만 복지 사각지대의 심각성도 함께 드러난 것이다.
복지부는 지난해 공공기관 10곳에서 단전, 단수, 단가스, 건강·연금보험료 체납 등 19종 정보를 수집해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를 선별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1차 분석에서 11만4000명이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로 분류됐다. 지난 1∼3월 읍·면·동사무소 직원이 해당 가구를 방문해 1만8318명이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정부 지원 결과 2181명은 기초생활수급자, 1095명은 차상위 지원 대상이 됐다. 847명에게는 긴급복지지원이 실시됐고, 1만1787명에게는 기타 공공 복지서비스가 제공됐다.
정부는 2차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해 사각지대 예측 대상자 4만8000명을 선별해둔 상태다. 복지부 관계자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자격이 있음에도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6월까지 현장방문을 통해 추가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복지사각 의심 되는 곳 빅데이터로 훑었더니 또다른 ‘송파 세모녀’ 1만8000명 찾았다
입력 2016-04-25 2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