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이 25일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을 신청하면서 해운 및 조선 업체 간 합병 문제도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경쟁력 유지를 위해 합병을 유도해야 한다는 쪽과 업종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덩치만 키울 경우 오히려 부작용만 더 커질 수 있다는 쪽이 맞서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11월 국내 양대 선사의 합병 관련 언론 보도가 나온 직후 양사 체제 유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당시 해수부는 “수출입 중심의 우리나라 경제 구조와 얼라이언스 중심의 글로벌 해운산업 체계, 부산항의 환적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할 때 양사 체제 유지는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대상선에 이어 한진해운마저 채권단 관리 수순을 밟으면서 합병을 통한 통합 국적선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해운동맹(얼라이언스) 재편 등 해운업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통합 시 선복량(화물 적재 능력) 4∼5위가 되는 통합 국적선사가 더욱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조선업 역시 해운업의 통합 논의가 불거진 후 덩달아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간 합병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선 이 같은 논의에 대해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운항 노선, 보유 선박 구조 등에서 서로 비슷해 통합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내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또 해운업 불황이 4∼5년 계속되면서 비용 절감 노력 역시 두 회사가 할 만큼 해 합병 후 추가로 줄일 수 있는 비용 역시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업종의 특성을 감안한 경쟁력 확보 방안에 앞서 합병 논의부터 이뤄지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해운물류학회장을 지낸 하영석 계명대 무역학과 교수는 “머스크 등 대형선사 사례에서 보듯 선박 대형화를 통해 비용을 낮추는 것이 기본이다”며 “초대형 선박을 갖추지 못한 우리 업체끼리 통합한다고 해서 경쟁력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합병이냐, 독자 생존이냐… 양대 선사 놓고 의견분분
입력 2016-04-25 18:00 수정 2016-04-25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