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민심 없으면 계속 비상상황… 계파 욕심 아닌 집권이 총선 교훈”

입력 2016-04-25 21:55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왼쪽)가 25일 광주 서구에서 4·13총선 광주·전남지역 출마자와 자치단체장 오찬 간담회에 앞서 윤장현 광주시장과 웃으며 악수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광주를 방문해 “계파싸움하지 않고 공허한 관념인 정체성에 흔들리지 않아야 수권정당이 될 수 있다”며 친노(친노무현) 세력을 정면 겨냥했다. 자신의 당대표직 추대·출마 여부를 두고 말이 엇갈리자 불만을 표시한 것이다. 그는 광주의 전기차 산업 발전을 돕겠다며 ‘호남민심’을 향해 구애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25일 총선 이후 첫 지역일정으로 광주를 방문해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돌아선 호남민심에 사죄했다. 그는 간담회 자리에서 “이번 총선에서 우리가 제1당이 됐다고 당의 비상상황이 해제됐다고 생각하는 것은 안일한 판단”이라며 “호남민심이 돌아오지 않는다면 당은 계속 비상 상황”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호남에서 참패한 원인을 분석하며 친노 진영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총선에서 뼛속 깊이 새겨야 할 교훈은 당권이라는 계파의 욕심이 아니라 집권이라는 국민의 염원”이라며 “더민주의 변화를 위해 호남에서 계속 회초리를 들어 달라”고 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문재인 전 대표에게 서운함을 드러내기도 했다. 문 전 대표와 단 둘이 만나지 않겠다고 한 발언의 의미를 묻자 “말을 만들어서 사후에 한다는 건 내가 보기에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일부 사람들이 말을 자꾸 이상한 형태로 만들어내는 것은 정상적인 것은 아니다”며 문 전 대표 측 인사를 공격했다. 자신의 향후 행보에 대해서는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겠다는 말씀을 드릴 수 없다”며 답을 유보했다.

김 대표는 호남에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차 산업 유치’ 등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에 주목했다. 그는 지역 기자들이 총선 때 내건 ‘삼성 전기차 산업 유치’ 공약에 대해 묻자 “전기장치 산업이라는 것이 광주의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전기차 산업 유치를 구상 중이라고 답했다. 광주과학기술원에서도 “(전기차 분야를) 당 중앙에서 문제를 검토해서 지원할 생각을 갖고 있다”며 “실무적으로 우리가 광주과기원과 협의를 계속하겠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문 전 대표 측은 ‘김종인 합의 추대론’을 두고 불협화음이 계속되자 “김 대표가 총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셨고, 대선에서도 필요한 역할이 있는데, 언론이 사소한 진실다툼으로 두 분 틈을 자꾸 벌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주=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