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미생물 DNA 정보 이용 불량 식품·신종 마약 단속한다

입력 2016-04-25 21:37
앞으로 수사기관의 불량식품과 신종마약 단속에 방대한 동식물·미생물 유전자(DNA) 데이터베이스가 활용된다.

대검찰청 과학수사부(부장 김영대 검사장)는 1억8000만개에 이르는 동식물과 미생물의 DNA 정보가 수록된 ‘법생물 DNA 바코드 DB’를 개통했다고 25일 밝혔다. 검찰이 과학수사에 활용하게 되는 이 DB에는 해외 생물 유전정보 DB인 젠뱅크(Gen Bank)의 DNA 바코드 약 1억8000만개, 한국 자생생물 등 5600여종의 DNA 바코드 약 3만개가 내장됐다. 개별 생물마다 가진 고유의 DNA 염기서열 식별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바코드’라고 부른다는 설명이다.

검찰은 앞으로 범죄 현장에서 확보한 혈흔 등 DNA 염기서열 정보를 DB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수사를 펼칠 계획이다. 예를 들어 세관에 압수된 양귀비 씨앗이 수입 가능한 ‘꽃양귀비’ 씨앗인지, 마약류로 분류되는 일반 양귀비 씨앗인지를 DB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조·판매된 횟감이 진짜 참치인지 가짜 ‘기름치’인지도 DNA 정보를 통하면 간단히 확인된다.

검찰은 DB에 수록되는 DNA 정보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실제 감식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유관기관과 협업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검색 정확도 개선 작업도 병행한다. 대검과 국립생물자원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14개 국내 연구·감식기관은 2014년 4월 ‘한국법생물연구회’를 출범한 상태다. 이들 기관은 최근 제5회 법생물연구회 행사를 갖고 한국 법생물 DNA 감식 기술의 표준화 등을 논의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