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이슈] 아베노믹스 지지하던 美, 입장 바꾼 이유는

입력 2016-04-25 18:03 수정 2016-04-25 21:51

한동안 잠잠했던 환율전쟁에 불을 지핀 건 미국과 일본이다.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이 지난 15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열린 G20(주요 20개국)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일본 정부가 외환시장 개입을 예고한 것을 두고 강도 높게 비판한 데 따른 것이다. 루 장관은 회의 후 기자들을 만나 “최근 엔화 가치가 상승하는 것은 정상적이다. 일본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할 명분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이 G20 회의 후 “외환시장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일 경우 시장에 개입할 수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한 미국 정부의 반대 입장으로 볼 수 있다.

그동안 미국 정부는 ‘아베노믹스’를 지지해 왔다. 일본은 2012년 아베 신조 총리가 집권한 뒤 대규모 양적완화를 통해 수출과 금융시장의 회복을 가져오겠다며 엔화 약세 기조를 유지했다.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일본의 엔저 기조 유지는 미국 정부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이 침체된 글로벌 경기를 회복하려면 세계 경제 3위 일본의 회복이 필요하다고 보고 달러화 강세를 감내했다는 것이다.

그랬던 미국 정부가 갑자기 입장을 선회한 배경은 무엇일까.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미국의 경제 상황이다. 지난 2월 미국은 6개월 만에 최대 무역적자(471억 달러)를 기록했다. 경제성장률은 4분기 연속 하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대(對)일본 무역적자는 심각했다. 지난해 686억 달러로 2009년 이후 6년 만에 54%나 늘었다. 일본의 경기 회복은 미미해 기대한 엔저 효과는 보지 못했고 오히려 미국의 무역수지 불균형만 악화됐다는 것이다.

차기 대통령 선거도 영향을 줬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화당과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무역적자는 큰 쟁점으로 부각된 상태다. 공화당 경선 선두주자인 도널드 트럼프는 환율 조작을 하는 교역국에 4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민주당 입장에서는 미국의 무역적자를 해소하는 한편 일본의 환율 정책에 대해 고민하고 있음을 보여줘야 하는 상황이 됐다는 게 외환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세종=서윤경 기자